[생활 동의보감] 춘곤증

 봄이 되면 기온이 따뜻해져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비타민 소모량이 많아진다. 또 낮이 길어져 겨울보다 활동량이 늘어나고 잠은 부족해지는 등 생활 리듬이 바뀐다.

 몸이 이런 변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면서 생기는 증상이 바로 ‘춘곤증’이다. 무기력하고 나른하면서 졸음이 쏟아지고, 식욕이 없어지는 춘곤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겪게 마련이다. 주로 운동량이 부족하고 과로하기 쉬운 직장인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춘곤증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과 숙면, 비타민이 풍부한 제철음식들을 먹는 게 중요하다. 특히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봄나물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춘곤증이 있을 때 가장 먼저 권하는 봄나물이 씀바귀다. 씀바귀는 성질이 차고 맛이 쓰기 때문에 한의학에서는 ‘고채(苦菜)’라고 부른다. 동의보감에서는 그 효능을 ‘오장의 사기와 열기를 없애고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며 잠을 덜 자게 하고 악창을 낫게 한다’고 소개한다.

 따라서 직장인과 수험생의 아침·점심 식단으로 안성맞춤이다. 그러나 성질이 찬 만큼 배가 차고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 쓴 맛으로 인해 식욕이 더 떨어지는 사람은 피하는 게 좋다.

 두릅나무의 어린순을 말하는 두릅나물 또한 춘곤증을 없애는 데 좋은 음식이다. 두릅을 끓는 물에 적당히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특유의 맛과 향기로 봄철 잃어버린 입맛을 돋워준다. 특히 두릅의 신선한 향기는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안신(安神)’ 효과가 있어 정신적 긴장이 많은 학생, 직장인에게 머리를 맑고 상쾌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두릅은 식용으로만 쓰는 데 성질이 평이해서 어느 체질이나 관계 없이 먹을 수 있다.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 것은 두릅나무의 뿌리껍질과 나무껍질로, ‘총목피’라 하며 주로 신장병과 위장질환을 치료하는 데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