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2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고효율 조명제품 개발 등 LED산업 육성에 총 150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한다. 또 LED 산업 등 신산업이 타 산업과 융합할 수 있도록 ‘산업융합촉진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지식경제부는 18일 최경환 장관 주재로 팔래스호텔에서 LED산업 상생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최 장관은 LED 업계의 대규모 투자에 따른 장비개발, 인력 문제 등에 대해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우선 2012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고효율 LED조명제품 개발을 위해 연간 2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자, 초박형 평판조명 등 `스타 브랜드급` 제품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고출력 LED칩 및 광학·방열부품 개발 등 핵심 부품 개발도 병행한다.
LED조명에 대한 정보제공 기능을 강화해 시중에 유통 중인 고효율인증 제품의 성능평가 결과를 공개하고, LED조명 실증센터를 광기술원에 구축할 계획이다. 공공기관에서 저가형 LED조명 제품 대신 인증제품 사용을 권장하는 규정도 이달 중 마련하기로 했다.
또, 신소재, 광학, 제어 등 융합 관점의 LED조명 제품 디자인과 제품설계 지원을 위해 LED조명 융합디자인 석·박사 과정을 내년 중 3~4개 대학에 신설하고, 중소기업의 융합디자인 제품 개발도 지원키로 했다.
LED업계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장비 개발, 인력 문제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강화한다. LED장비개발 사업의 경우 정부는 올해 통합공정시스템 및 개발 장비의 성능 향상에 60억원을 투자하고, 올해 R&D사업 예비타당성 검토를 거쳐 내년부터 LED자동화 장비 개발 등 대규모 R&D를 추진키로 했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산업기술대, 서울대, 전북대, 경북대 등 전국 4개 개학에서 LED공정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480명 이상의 교육생을 배출하고, LED기업과 인턴십을 통해 취업과도 연계시킬 방침이다. 또, 올해 분야별 인력수요 전망 및 공급상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키로 했다.
최 장관은 이와 함께 “LED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융합’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라며 “연내 산업융합촉진법 제정을 통해, LED분야 융합촉진을 지원은 물론 기준이나 규격이 없어 새로운 융합 신제품의 시장출시가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LED업계는 2012년까지 총 4조원 이상의 설비투자와 함께 매년 5000명 이상의 신규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