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톱/WCI국제화 사업 둘러싼 우려 높아

 정부 출연연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출연연 내에 세계 수준의 국내외 우수 연구자를 초빙해 공동 연구를 실시하는 ‘세계수준연구센터(WCI)’ 사업이 연구 및 정주시설 마련 문제로 시작부터 어려움에 직면했다. 해외 과학자가 장기간 국내에 거주하며 이뤄지는 공동연구에 대해서는 부담이 큰 인프라 및 시설예산 항목이 사업예산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22일 WCI 추진 출연연 중 연간 예산이 최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한홍택)에 따르면 WCI 추진 과정에서 해외 초빙 석학과 연구팀의 연구 및 정주 시설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WCI 추진의 중심인 ‘기능커넥토믹스 센터’에는 센터장인 조지 어거스틴 미 듀크대 교수를 포함해 26명의 해외 연구자들이 한국에 왔지만 연구 공간 확보가 최대 난제로 떠올랐다. 이는 교과부가 마련한 WCI 사업이 연구인력의 50%를 외국인으로 채워야 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 이들의 국내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시설 확충 및 임대료 지원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KIST 관계자는 “별도 시설을 신축할 예산이 없어 일단 기존 KIST 벤처동에 입주한 산학협력업체 중 일부 기업들에 자리를 비워달라고 양해를 구하는 웃지못할 상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어거스틴 센터장을 비롯한 해외 연구원들이 머물 공간도 마땅치 않아 어쩔 수 없이 주변 아파트의 장기 임대 물색에 나섰다.

 이 관계자는 “향후 WCI 사업 관련 해외 인력이 50명까지 늘어나면 임대료만 수억원의 예산 투입이 불가피하지만 인프라 구축 예산을 지원하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예산을 확보 못한 상황에서 KIST가 ‘알아서’ 이를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국제화 사업에 대해 지원하는 연구비에는 애초 정주환경 조성비 항목은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올해 교과부 예산 70억원을 확보한 KIST는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첫해 예산이 각각 25억원에 불과한 핵융합연구소와 생명공학연구원은 소규모 연구소여서 어려움이 더 크다.

 핵융합연구소 관계자는 “WCI는 별도 공간을 마련 중이지만 WCI에 앞서 기존에 상주해온 일본 연구원들의 경우 별도 공간 확보가 불가능해 낮에는 서서 연구를 하고 인근 숙박 업소에서 잠을 청하는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3차 사업을 앞둔 세계연구중심대학(WCU)의 경우도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사업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석학 개인이 단기간 머물다 가는 것은 남는 게 없다는 지적이다.

 서울대의 한 교수는 “중국 노벨상 수상자를 몇 주간 초빙했을 때 10만달러를 제공했는데 이 정도 돈은 써야 효과를 보는 현실”이라며 “WCU의 경우 돈은 돈대로 쓰지만 급이 낮은 교수들을 다수 초빙하다보니 국내 교수들보다 자질이 떨어지는 교수가 많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표/WCI 선정기관 현황

기관명 센터명 센터장 연구내용 2010년 예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능커넥토믹스 센터 조지 어거스틴 미국 듀크대 신경생물학과 교수 뇌 기능적 회로규명을 통한 뇌질환 원인규명 및 치료기술개발 70억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키노믹스 기반 발암 표적단백질 및 신약후보물질 발굴 센터 레이 에릭슨 미국 하버드대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 미생물과 약용식물을 이용한 신개념의 천연 항암 후보물질 개발 25억원

핵융합연구소 핵융합 플라즈마 난류 및 수송 통합모델링 연구센터 패트릭 헨리 다이아몬드 미국 UC샌디에이고대 물리학과 교수 핵융합 플라즈마 난류 및 이상 수송현상 규명과 성능의 정량적 예측 25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