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전기차의 상용화 시대가 임박했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를 달리는 고속 전기차 시대는 1년 이상 더 기다려야 하지만, 일반인이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와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는 점에서 시선을 끈다. 특히 저탄소 녹색성장이 전 세계적인 화두로 등장하면서 전기차가 친환경 이동수단의 새로운 축으로 등장할 지 관심이 쏠린다.
도시형 전기차는 오는 30일부터 일반도로 주행이 허용된다. 하지만 아직은 운행 속도가 일반 차량보다 느려 별도의 운행구역이 지정될 예정이다. 또 전기차 이용자는 친환경 등 이점에도 불구하고 초기에는 공공기관과 택배회사 등 특수 계층에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전국의 지자체들이 전기차 인프라 지원 및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어 시장 활성화에 전기가 될 전망이다. 우선 서울시와 전라남도, 충남 당진군 등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서울시는 중구와 강동구 2개 구를 시범구역으로 지정해 교통표지판 설치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전라남도도 신안군·영광군 등 섬이 많은 지역에 소형 전기차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전기차 전문업체들은 발빠르게 상용화 준비에 나섰다.
도시형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 및 기술 개발 상황에 맞는 순차적인 육성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내놓은 2011년 전기차 양산체제 구축, 2015년 전기차 세계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 등은 지나치게 낙관적인 목표라는 분석도 많다. 우선 전기차의 기초가 되는 하이브리드카의 경우에도 아직 우리나라는 경쟁력 있는 기술을 축적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에 지나친 투자 집중은 자칫 시장과 동떨어진 기술 개발 상황을 맞게 할 수도 있다.
전기차는 산업 발전의 역사에서 미래 녹색산업을 완성하는 종착역이다. 그 과정에서 장기간에 걸친 정교한 기술 개발, 시장 육성 정책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전기차 전문업체는 산업의 기초체력이 되는 양산 기술을 더욱 면밀하게 구축하고, 정부는 기술 현황과 상용화 시점 등을 감안해 투자 우선 순위를 면밀하게 정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