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국내 연구진, 전자종이의 문제점인 응답 속도 저하 원인 규명 실마리발견

 국내 연구진이 전자 종이의 문제점인 응답 속도 저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최초로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4일 강관형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액체(무극성 액체)를 전기력을 이용해 움직일 수 있는 ‘전기수력학적 유동 현상’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팀은 두 전극 사이에 담겨진 무극성 액체에 전기장을 가했을 때 유체가 전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현상을 발견하고, 그 생성 매커니즘을 밝혀냈다. 강 교수팀이 규명한 현상은 전기장에서의 전자잉크 입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전자종이의 응답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규명하는 데 응용될 것으로 기대됐다.

 또 전기를 전달하기 어려운 다양한 절연액체를 전기력을 이용해 이송시키는 새로운 ‘마이크로 펌프’의 작동 원리로 응용될 수 있다.

 강관형 교수는 “연구 결과는 소니·삼성전자 등이 출시해 주목받고 있는 ‘전기 영동형 전자종이’의 문제점인 응답 속도 저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