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KEPCO)이 수출 전략형으로 개발하는 중소 일체형 원자로 ‘스마트(SMART)’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수개월간 끌어온 민간 참여 업체 지분 문제를 원만히 해결함으로써 정부는 표준설계에 한층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구성된 컨소시엄은 한전이 한발 양보해 지분 51%를 투자하고, 포스코·대우조선해양·대우건설·STX·일진에너지·삼창 기존 6개 업체가 총 49%를 투자하는 형태다. 이에 따라 컨소시엄 명칭은 기존 ‘원자력연구원-포스코 컨소시엄’이 아닌 ‘KEPCO컨소시엄’으로 결정했다. 이르면 다음 달 초 표준설계에 이은 후속 단계인 국내 시범 원자로 건설 계획도 마무리될 전망이다.
25일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양명승)과 한국전력에 따르면 총 1000억원이 소요되는 스마트 표준설계를 추진할 민간기업 컨소시엄 구성이 최근 마무리됐다.
‘스마트’는 상용 원전의 최대 15분의 1 발전 용량의 소규모 원자로로 단일 용기에 모든 기능을 담아 안전성을 높인 것이 강점이다. 우리나라는 수출과 국내 1호기 건설을 위해 지난해 표준 설계에 나섰지만 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이 사업에 참여할 민간기업의 컨소시엄 구성 문제를 해결짓지 못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원자력연구원과 기존에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해온 포스코 등 6개 기업 외에 뒤늦게 참여 의사를 밝힌 KEPCO가 지분을 100% 투자하는 독점 참여를 원했기 때문이다.
양명승 원자력연구원장은 “삼창 등 중소업체가 하도급업체로 참여하는 형태가 아니라 동등한 자격 요건으로 참여하면서 각사의 전문 기술을 200%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르면 다음 달 초 컨소시엄 구성에 따른 협약식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원장은 또 “기술 이전 소유권과 국내 시범 원자로 건설에 대한 한전의 참여 문제가 남아있지만 이것도 다음 달에는 원만히 해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력연구원은 참여 기업 미확정 문제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차질이 예상됐던 스마트 안정성 평가시설 구축도 순조롭게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학노 원자력연구원 스마트개발본부장은 “내년 말을 목표로 하는 표준설계에 대한 모든 장애물은 제거했다”며 “국내 시범로 설계를 국가계획으로 확정할 것인지와 민간기업의 확대 참여 여부 등은 국무총리실에서 조율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스마트 국내 건설이 확정되면 약 7000억원 규모의 예산과 6∼7년간의 공사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스마트 시장은 오는 2050년까지 최다 1000기, 3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