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대기업과 소프트웨어(SW) 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추진할 민관 합동 전담기구가 출범한다. SW 상생 실적이 높은 기업에 정부 지원금이 제공되는 등 상생 인센티브 제도도 운용된다.
지식경제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ITSA),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등과 공동으로 IT 대·중소기업 간 실질적인 상생 실천과 확대를 위한 ‘상생협력위원회’를 다음 달 발족한다고 29일 밝혔다.
지경부는 이들 기관과 협의를 거친 뒤 상생협력위원회 사무국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 설치할 방침이다.
유정열 지식경제부 소프트웨어정책과장은 “상생협력위원회 설치는 지난달 발표한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 후속조치 중 하나”라며 “다음 달 출범 예정인 상생협력위원회에서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닌 IT서비스 대기업과 SW 중소기업 간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상생을 유도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지경부는 상생협력위원회를 통해 IT 대기업과 SW 중소기업 간 다양한 상생 추진 과제와 실행 방안 등을 발굴할 예정이다. 필요한 자금도 지원한다.
지경부는 상생협력위원회 가동을 계기로 IT 대기업과 SW 중소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IT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SW 발주 및 구매제도 설명회, 구매상담회, 협력업체 교육 프로그램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상생 이행 실적 점검과 평가 등을 정례화해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더욱 실질적인 상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유 과장은 “IT서비스 대기업과 SW 중소기업 간 상생 방안을 공모하거나 제안을 접수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생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S·LG CNS·SK C&C·포스코 ICT의 IT서비스 4개 대기업은 작년 말 SW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선언했다.
김원배·정진욱기자 adolf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