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 3D산업 발전전략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 3D산업 발전전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핵심기술 민관 투자 예상 규모

 정부가 콘텐츠·미디어·3D 등 정보기술(IT)에 기반한 융합산업을 육성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할 복안을 내놓았다. 2014년까지 △3D산업은 연간 15조원의 시장을 일으켜 4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콘텐츠 산업은 민관이 6조5000억원을 투자해 3만명의 일자리를 △미디어산업은 4조7000억원을 투입해 1만명의 고용을 일으키겠다고 밝혔다. 이를 실현할 세부 정책안을 살펴 봤다.

 3D 산업 기술로드맵이 올 하반기 발표된다. 또 관련 시장 창출을 위한 다양한 공공사업이 전개된다.

 지식경제부는 3D산업 육성을 위해 △초기시장 창출 △인력양성을 통한 기업 고충 해소 △기술역량강화 △3D 콘텐츠 기업육성 △해외진출 기반 강화 등에 힘을 실기로 했다.

 정만기 지경부 정보통신당담관은 “2020년께 실현될 홀로그램은 선진국의 50% 기술 수준에 불과하다”며 “기술 수준을 높이지 않고는 모두 외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TV 등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외하곤 카메라, 방송장비, 3D 콘텐츠 제작 기술 등에서 선진국의 6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3년 내지 5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산·학·연이 참여하는 3D 기술로드맵을 하반기에 마련해 영화·방송장비·무안경 TV 등 중단기 핵심기술 개발과 국제 표준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3D 공공사업 추진으로 시장 창출에도 나선다.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문화재 홀로그램 복원, 첨단체험관 등의 공공사업을 통해 시장 파이를 키우자는 것. 3D산업이 의료·조선·광고 등에 확산될 수 있도록 사업발굴도 추진한다. 3DTV와 영화 외에도 의료시장의 경우 3D 암진단기, 치과용 입체영상 CT 장비 등의 확산으로 5년 후에는 관련 시장이 영화시장을 넘어설 전망이기 때문이다.

 가장 큰 현안인 인력 양성에 대해서도 대학 내 학과 신설은 물론 금융과 세제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인재 양성에 힘을 실어준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지경부는 테마파크와 3D 집적단지 조성 등을 통한 세계적 3D 중심지 조성과 코트라를 통한 수출지원도 강화키로 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