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HRM 2.0의 대두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HRM 2.0의 대두

 

 최근 기업들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과 글로벌화 등의 경영 환경 변화에 직면에 있다. 이에 따른 인적자원(HR)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과 활용이 핵심적인 도전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많은 기업이 글로벌 전략을 강화하면서 현지 시장에서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인사제도 및 프로세스가 필요해졌고, 이와 함께 글로벌 기업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공유도 중요해졌다. 또 인수합병(M&A)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HR 역량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인수 전부터 HR 관점에서 실사를 하고 HR 관련 비용을 산정하는 등 최근 기업들의 M&A 작업 과정에서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도 이런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또 예전에는 단순 인력관리 차원에서 인사관리가 이뤄졌지만 이제는 인재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들이 다양한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 외에도 기업별로 구축했던 인사정보시스템을 그룹별로 통합하려는 움직임도 강화되고 있다. 특히 통합시스템 구축 작업을 하면서 기존 공급자 중심의 시스템을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려는 노력도 많이 기울이고 있다.

 

  

<경영환경 이슈>

불확실성 및 치열한 경쟁=과거 대비 증가된 인적자원 최적화 요구

글로벌화=글로벌 사업 제고 및 글로벌 전략 실행을 위한 HR 역할 확대

M&A 활성화=인재관리를 포함한 통합 경영계획 수립 중요



글로벌HR -국내와 해외지사 인력관리 분리 -글로벌 기업문화 정체성 구축 -글로벌 통합 인재관리전략 수립 및 지원정보시스템 구축

M&A 대응 -M&A 단계 중 통합계획 및 실행 단계에서 HR 참여 -M&A 초기 단계인 대상 평가 및 실사 단계에서부터 HR 관여 -시스템 통한 효과적 인적자원 배치

우수 인재관리 -인력관리에 초점 -상급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고과 위주 -인재관리에 초점 -역량 중심 성과관리 -확대된 개념의 인재 정의

기술&시스템 진화 -공급자 중심의 시스템 -기업별 인사정보시스템 구축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그룹 통합시스템 구축

<과제>

=나라별 노동법, 세법, 근로기준법 적용

=데이터 품질 개선 및 보안 강화

=인적자원관리(HRM)와 인적자원개발(HRD)의 통합

=다중언어/다중통화 기능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