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지자체의 지원 부족과 민원, 지역적 특성 등으로 사업 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
19일 관계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제주도청에 스마트그리드 관련 전담조직이 없어 관련 행정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다. 담당 공무원이 2명에 불과해 실질적인 업무 지원이 사실상 힘들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도청엔 사무관 1명과 주무관 1명만이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주관부처인 지식경제부는 물론이고 KEPCO(한국전력)·SKT·KT·LG전자·현대중공업 등 기업과 한국전기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원 등 21개 기관이 개별적으로 전담조직을 두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컨소시엄 참여기업에 따르면 실증단지가 들어설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에서는 주민동의서를 받는 데 별도의 지원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체육대회나 제사 등 각종 마을 행사 때마다 지원을 바라는 것이다.
실증단지는 낙후된 구좌읍에 스마트그리드 관련 첨단 설비를 무료로 설치하는 만큼 보상문제에 신경을 쓰지 않았던 참여기업에는 적지 않은 부담이다.
사실 지난해 8월 착공식 때만 해도 주민 설득과 홍보는 해당 지자체인 제주도청에서 담당하기로 했다. 민간기업이 접촉하면 주민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지난 2월부터는 도청에서 컨소시엄별로 직접 접촉해 해결하라고 연락해 온 상태다. 엎친 데 덥친 격으로 지역적 특성상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사업 추진도 어렵다. 구좌읍은 제주도에서도 낙후된 마을 중 하나로 전통 제주 가옥이 많아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붕에 얹기 힘들다.
섬이다 보니 물류비용과 인건비 부담도 크다. 내륙보다 30%가량 더 든다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또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을 실증하기 위해 필수적인 소비자 반응이 제대로 확보되기 힘들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실시간 전력 계측, 신재생에너지 저장, 전력-통신 융합서비스 등이 구현되는 스마트플레이스의 경우 소비자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실시간 요금 선택, 융합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이 직접 선택하고 이를 활용해야 하는데, 구좌읍 주민 대부분이 노인인 데다 농번기가 시작돼 소비자들의 반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제주 실증단지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제주 실증단지는 국내 스마트그리드 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기반이어서 기술에 대한 실증이 매우 중요하다”며 “사업 추진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기업·기관별 스마트그리드 전담팀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