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7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및 부품소재 개발과 기반조성에 5000억원이 투입된다. 또 디스플레이 장비·소재의 국산화율도 현재의 50%에서 2015년까지 70%로 높아질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19일 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 디스플레이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보고했다.
정부는 우선 디스플레이 장비·소재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내달부터 패널·장비기업이 참여하는 ‘차세대 LCD 장비·소재 개발 협의회’를 설치해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11세대급 LCD 및 8세대급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장비·소재의 수요 연계형 개발을 추진하고, 2013년까지 TV용 AMOLED 패널 양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차세대 LC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 업체의 연구개발(R&D)에 대해선 세액 공제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민·관 합동 디스플레이 융합포럼을 운영해 수직계열화된 패널·장비기업 간 관계를 수평적 파트너십으로 바꿔나가기로 했다.
산업 기반조성과 관련해선 2019년까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인 플라스틱 유연기판과 생산장비 개발도 추진한다. 또 연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비·소재의 테스트베드룰 구축하고 친환경 공정 및 장비개발을 위한 에코 디스플레이 연구센터도 만들기로 했다. 인력난 해소 역시 실태조사를 거쳐 9월까지 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중국 LCD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해 해외 시장 진출도 지원키로 했다.
중소 장비·소재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디스플레이협회 내에 특허지원센터를 설립해 외국기업의 특허 공세에도 대비하기로 했다. 또 일본과 대만 등 경쟁국에 비해 높은 디스플레이 장비의 관세율(8%)을 내리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다.
특히 우리 기업의 중국 진출을 통해 이뤄질 수 있는 8세대급 LCD 기술의 불법 유출에 대비, 국가 핵심기술보호 시스템을 현지공장에서 운영하는 한편, 기술보호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정만기 지경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오는 2013년까지 11세대급 차세대 LCD 고도화에 10조원, AM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10조원 등 2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예상된다”며 “이번 대책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 시장 선점의 기반을 마련하고, 2015년까지 현재 50% 수준인 디스플레이 장비·부품소재 국산화율을 70%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