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부터 지능형 전력기기와 첨단 계량 인프라(AMI)·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 부문별 스마트그리드 표준 개발에 나서 2013년까지 스마트그리드에 필요한 100종의 표준을 개발한다.
또 한국·중국·일본 등 동북아 협력을 기반으로 미국·독일 등 스마트그리드 선도 국가와 민간 표준화 협력을 통해 국가표준을 국제표준화한다는 계획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종합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민간 차원의 표준 개발을 중점 추진할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을 출범한다고 2일 밝혔다. 3일 출범하는 포럼 초대 위원장에는 대한전기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인 박종근 서울대 교수가 추대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은 우리나라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지능형 전력망 △지능형 소비자 △지능형 운송 △지능형 신재생 △지능형 서비스의 5대 주요 영역 표준 개발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6개 표준화 분과위원회를 구성한다. 특히, 각 분과위원회는 제주 실증 컨소시엄 업체 및 연구개발(R&D) 전문기관 등에서 3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표준 개발 작업반을 구성하고 표준 개발 활동을 중점 추진한다.
먼저, 1단계(2010∼2011년)에는 표준 개발이 시급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와 스마트계량기 분야, IP 기반 전력제어망, 장치·시스템 보안기술, 신재생·전력저장장치 등의 표준 개발에 주력하고, 제주 실증 컨소시엄에 필요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2단계(2012∼2013년)에는 전력 감시·제어 등 통합시스템 표준 개발과 검증에, 3단계(2014년∼)에서는 광역망 통합운영센터 및 통합에너지관리시스템 등 광역서비스 표준 개발과 국제표준 신규 제안에 주력한다.
포럼은 단계별 추진전략과 함께 제주 실증단지 구축사업과 밀접한 연계를 통해 2013년까지 스마트그리드에 필요한 100여종의 표준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허경 기술표준원장은 “기표원은 제주 실증사업의 효과적인 표준 지원에서부터 국제표준 선점과 인증·평가 기반 확보 등 전반적인 표준화 활동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추진 전략’을 수립·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 원장은 “스마트그리드 영역의 광범위한 표준화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가 상호운용성 표준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선도 국가들은 물론이고 동북아 국가들과의 국제표준화 협력 및 교류를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스마트그리드 단계별 세부 표준 개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