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전기차는 지난해 예산 편성 단계부터 끊임없이 사업 타당성 논란이 불거졌다. 전문가들은 애초부터 경제성이 없는 무리한 상용화를 충분한 검토없이 추진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KAIST 측은 ‘4배속 R&D를 통해 짧은 기간에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시제품 개발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평가위원 “경제성없는 비현실적 발상”=3일 박영아 의원이 주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두 차례의 사업 타당성 조사에 참여했던 조보형 서울대 교수(전기공학부)와 선우명호 한양대 교수(자동차공학과)는 온라인 전기차의 경제성 결여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온라인 전기차의 개념은 차량 하부에 장착된 집전장치를 통해 달리면서 도로에 설치된 급전라인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신개념의 전기자동차다.
조보형 교수는 “사실상 노선버스에 국한된 사업 모델은 국내는 물론이고 수출용으로도 사업성이 전혀 없다”며 “순수전기버스(PEV)의 배터리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것과 온라인 전기차의 유지 보수 비용 등을 감안하면 PEV 대비 경제 성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선우명호 교수는 “2020년 전 세계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 시장 점유율이 13%로 예상되는데 이중 전기버스 시장은 더 작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미국 등 선진국이 이미 포기한 프로젝트의 재추진 △차별화한 원천기술 미확보 △전자기장의 인체 노출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KAIST ‘충분히 의미있는 사업’ 반박=이 같은 지적에 대해 KAIST는 최근 내부적으로 ‘온라인 전기자동차사업 예타보고서에 대한 KAIST 의견’이라는 제목의 21페이지 반박 자료를 작성, 재정부 예타를 추진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전달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KAIST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KISTEP이 배터리 가격을 비현실적으로 산정했으며 급전선로의 유지 보수 문제도 지속적인 신뢰성 향상 연구를 통해 해결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PATH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15년 전 기술로, KAIST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했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내년 사업 추진 가능할까=재정부 타당성 결과에 대해서도 KAIST는 일정 정도 사업 방향을 재조정해 원천기술 개발을 지속할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박영아 의원과 평가위원들은 원천기술 개발도 예비타당성 조사에 언급된 100억원 규모는 지나치게 과다하며, 민간기업들도 현재 온라인 전기차에 참여할 의향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선우명호 교수는 “버스제조업체들로부터 실질적인 참여 의향서를 못 받은 상황에서 정부 예산마저 끊기면 사실상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경제성 없다" vs "상용화 가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KAIST 온라인 전기차 예산 확보 추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