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기술 연구가 본격화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아주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중대형차의 온실가스 저감기술 실용화 타당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실용화 평가 대상 자동차 온실가스 저감기술은 변속기어의 최적변속시기 표시장치·전자식 냉각팬 기술 등이다.
이 연구는 환경부가 보급하고 있는 압축천연가스(CNG) 엔진을 장착한 시내버스에 실제로 적용,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이밖에 저마찰 타이어·고효율 에어컨·타이어압력 모니터링 기술 등도 검토하고, 시내버스의 주행패턴을 분석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드도 함께 개발한다.
버스·트럭·화물자동차 등 중대형차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5% 정도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33%를 차지해 온실가스 저감기술 적용에 따른 배출량 감소 기대효과가 높다.
일본은 2015년부터 중대형차의 평균 연비를 2002년 대비 약 12% 높이도록 규정했으며, 미국·유럽에서도 중대형차의 온실가스 저감 대책을 마련 중이다.
홍지형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장은 “이 연구를 통해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검증된 기술은 운행 중인 중대형자동차뿐 아니라 향후 제작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환경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