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중위권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에서는 중하위권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북리스크 등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작용한 결과로 중국, 체코, 슬로바키아와 비슷한 등급이다.
14일 기획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3대 국제신용평가사들이 매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은 5월말 기준으로 G20 회원국 중 10~11위, OECD 회원국 가운데는 22~23위였다.
G20 회원국을 살펴보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캐나다가 Aaa로 최고 등급을 받았으며 일본과 이탈리아가 Aa3 그리고 한국과 중국이 A1으로 10위권에 간신히 턱걸이했다.
이들 국가 중 한국과 호주, 캐나다를 제외하면 재정 상황이 열악한데도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한국은 천안함 사태와 경제 위기 와중에서도 건전한 재정과 급속한 경기 회복 덕분에 지난 4월에야 신용등급이 한 단계 올랐다. S&P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에 AAA라는 최고등급을 부여했으며 일본(AA), 사우디아라비아(AA-), 중국.이탈리아(A+), 한국(A) 순이었다. 피치의 경우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가 AAA, 호주가 AA+이었으며 일본(AA), 사우디아라비아.이탈리아(AA-), 한국.중국(A+)이 뒤를 이었다.
G20 국가 중 신용등급이 가장 나쁜 국가는 아르헨티나로 무디스는 B3, S&P와 피치는 B-로 투자부적격 등급을 부여했다.
OECD 회원국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국제신평사로부터 동유럽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받고 있었다.
무디스는 최근 남유럽발 재정위기와 관련된 스페인에 Aaa라는 최고등급을 부여한 반면 한국은 아일랜드.벨기에(Aa1)에 이어 칠레,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A1으로 평가했다. 이는 OECD에서 22번째로 높은 것이다.
S&P는 칠레, 이탈리아, 슬로바키아를 A+로 평가한 가운데 한국은 체코와 함께 A로 분류됐으며, 피치는 아일랜드.이탈리아.포르투갈(AA-)에 이어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A+을 받아 역시 22위였다.
국제신평사들의 한국에 대한 상대적인 저평가는 우선 대북리스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신평사들이 미국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아시아국가보다는 유럽 또는 미주 국가에 후한 면도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국제신평사들이 아시아, 특히 한국에 대해 제대로 된 평가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쉬울 때가 많다”면서 “우리 같은 개방경제 국가 입장에서는 국가신용등급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 신평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한국 현황 설명을 통해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