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균형발전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이 본격 육성된다. 이 프로젝트는 이명박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의 핵심으로 기존 시·도 행정구역을 초월해 지역의 인구 규모, 인프라 및 산업집적도, 역사문화적 특수성과 지역정서 등을 고려, 전국을 ‘5+2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개발하는 전략이다.
올 4월에 끝난 1차연도 사업 평가결과, 호남권 광기반 융합 부품소재와 하이브리드카 부품소재, 대경권 태양광 부품소재, 충청권 차세대 무선통신 단말기 부품소재 사업이 A등급으로 성과를 인정받았다. 광역경제권 선도 사업은 고용창출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R&D 과제 수행에 필요한 연구개발 인력 및 신규 투자에 따른 총 2246명의 고용이 발생해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지금 전 세계는 정보통신 기술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지역 간 경계뿐 아니라 국가 간 경계까지 허물어졌다. 여기에 경제활동의 글로벌화와 각국의 지역정책 광역화 추세는 지역 간 칸막이 철거를 가속화했다. 이미 선진국인 영국은 전 국토를 9개 광역경제권으로 나눴고, 일본도 8개 광역지방계획권역으로 구분해 지역 간 특화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1차연도 성과를 바탕으로 2차연도에 들어가는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에 540억원 등 총 3295억원을 지원한다고 한다. 이와 함께 부진한 과제를 엄격히 관리해 지원을 중단하는 사후 평가관리도 강화한다.
국가 균형발전은 정권의 이해가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추진해야 하는 범국가 프로젝트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수도권 집중이 심한 나라는 지역 발전 없이는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이루기 어렵다. 아울러 언제가 다가올 통일에 대비해 지금부터 사전에 준비해는 기회로도 활용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