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강국의 희망, 다시 시작이다] <4> 산·학·연 연계 새판을 짜자

 지난해 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발주한 다목적실용위성 3A 기술이전 및 개발 대상업체 선정을 둘러싸고 말이 많았다. 항우연은 처음에 쎄트렉아이라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삼아 협상을 진행했다. 그런데 일부 대기업이 중소기업 주도 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고 버티자 결국 항우연은 쎄트렉아이 대신 대기업을 주계약자로 바꿨다. 이 과정에서 우주산업계는 두 가지 숙제를 안았다. 하나는 우주산업에 공정한 경쟁구조를 어떻게 정착시킬 것인지와 정부가 언제까지 우주기술을 독점해야 하는지다.

 ◇뿌리 깊은 하도급구조=우리나라에 우주산업과 직접 연관이 있는 위성 관련 업체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쎄트렉아이, 항우연 출신이 창업한 AP시스템 등 몇 되지 않는다. 발사체와 발사대 등 나로호와 연관된 업체는 전체적으로 160여개 되지만 대부분 하도급 관계다. 추진 분야와 체계, 제어, 전자, 구조분야별로 핵심역할을 했던 주기업은 20여곳에 불과하다. 은종원 남서울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는 “업체가 경쟁력이 있으려면 하도급 수준을 벗어나야 한다”며 “특정영역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쌓으려면 기업 자체적인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부가 산업육성 의지를 갖고 적극 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요소기술 개발소홀 업계선 답답=지난 1999년 쏘아올린 다목적실용위성 1호를 미국 TRW와 공동개발 과정에서 많이 배우긴 했지만 핵심기술은 거의 돈주고 사오다시피 했다. 발사체 나로호의 상황은 더 안 좋다. 지난 2002년 액체추진과학로켓 KSR-Ⅲ 발사 이후 중간단계 없이 무게 140톤짜리 ‘나로호’ 개발로 넘어갔다. 우주발사체 요소기술 개발의 핵심과정이 빠졌다. 우주 발사체 기술 습득에는 효과적일지 몰라도 되레 산업기반을 부실하게 했다는 지적으로 이어졌다. 러시아는 ‘발사체 기술=무기’라는 논리를 앞세워 엔진 등 핵심기술 이전 자체를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기술 과감히 민간 이양해야=고흥이나 사천, 충남, 대전 등에는 우주산업 관련 일부 대기업과 연구기관 등이 포진해 있지만 산업 기반은 부실하다. 고흥과 사천 등 일부에서 산-연 연계 강화를 위한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했으나 아직까지 관련 사업 인력이나 예산은 전무하다.

 기업은 기업대로 정부의 단발적인 우주관련 과제 물량 발주로 인해 우주산업 진입 자체를 꺼린다. 해당 인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사장은 “우리 정부도 우주개발사업 세부 실천로드맵에 따라 오는 2016년부터 표준화한 실용위성 개발을 산업체가 주관하도록 유도할 방침이지만 아직까지 미진하다”며 “나아가 산업체가 제품에 대한 가격 결정권을 가져야 하며, 발사체나 위성 등에 특화한 기업부터 먼저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