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만 있으면 의약품 유통기한이나 고급양주의 진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태그(RFID)가 국내기술로 개발돼 내년 상용화된다. RFID가 민간 소비시장까지 널리 확산,보급되면서 큰 수요가 창출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신성장동력 스마트프로젝트의 일환으로 SK텔레콤과 RFID 중소전문업체 7개사가 공동으로 세계 최초 개발한 모바일 RFID 제품의 성과보고회를 24일 개최했다.
이날 성과보고회에는 조석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과 포스코, 한미약품, 국세청 등 수요 기업·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해 개발제품 시연과 함께 그간의 성과를 점검했다.
개발된 기술은 태그를 인식하는 리더 내장 범용가입자식별모듈(USIM)과 칩, 스마트폰, 플랫폼과 소프트웨어(SW) 개발도구 등이다. 그간 RFID는 기업간(B2B) 거래를 중심으로 보급된 반면, 대규모 수요가 있는 소비자 부문(B2C)은 대중화가 더디게 진행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실제 잠재 소비자 수요가 많은 휴대폰에 RFID 리더를 장착하는 기술을 개발,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부품과 SW를 국산화했다.
개발된 리더 내장 USIM 제품은 기존 휴대폰과 스마트폰에 삽입만으로 RFID 리더 기능이 추가돼 단말기 교체비용이 줄고 개인과 소규모 사업 분야에 적용이 쉬울 것으로 기대된다.
또 RFID 기기의 핵심부품인 리더칩을 이미 약 1만개 정도 판매돼 태그 프린터 등에서 성능을 검증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모바일 RFID에 대한 전파 인증, 내부 인증 등 자체 검증을 8월말까지 수행하고 9월부터 연말까지 선도적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실사용 환경 검증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상반기 모바일 RFID 상용 제품을 출시, 식음료, 의약, 자동차, 전자, 의류 등 분야에 패키지화해 중국 등 글로벌 시장까지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김정화 지경부 정보통신활용과장은 “이는 과거 수년간 투자로 확보한 원천기술을 활용해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라며 “국내는 물론 RFID 해외시장 창출에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