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재난신고도 ‘119’로 하세요”

"이젠 재난신고도 ‘119’로 하세요”

재난·가스·수도 등 긴급전화 11종 119와 연계…1일부터 시범서비스

각종 재난 및 생활안전 관련 긴급신고 전화번호 11종을 119와 연계해 운영하는 시범서비스가 시작됐다.

행정안전부는 1일부터 재난관련 긴급신고 전화번호 11종과 119를 연계한 시범서비스를, 경남을 뺀 전국 15개 시도에서 시작했다고 밝혔다.

시범서비스를 통해 119와 연계되는 전화번호는 재난(1588-3650), 가스(1544-4500), 수도(121·1577-0600), 환경(128), 응급의료(1339), 여성폭력(1366), 이주여성폭력(1577-1366), 청소년폭력(1388), 자살예방(1577-0199), 노인학대(1577-1389), 아동학대(1577-1391) 등이다.

재난·가스·수도·여성폭력 등 긴급신고 전화번호 11종이 119와 연계된다는 것은, 재난안전사고 신고를 비롯해 119와 연계대상 시범서비스에 포함된 생활안전 긴급신고를 할 때 119만 누르면 소방상황실을 거쳐 바로 해당 기관과 연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즉, 지난달까지는 재난안전사고를 신고하려면 1588-3650(재난종합상황실), 환경오염신고는 128(자치단체 환경신문고)을 눌러야 했으나, 이제는 경남을 뺀 전국에서 119만 누르면 11종에 대한 신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재난안전 긴급전화 119 연계·운영서비스는 국민편익 향상과 재난안전사고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사업으로, 행안부 재난안전실이 올해 추진하는 주요 재난 및 안전관리시책 가운데 하나다.

최복수 행안부 재난안전정책과장 등 재난안전실 관계자들은 이전에 열렸던 ‘안전문화 토론회’(5월3일) 등에서 재난안전 긴급전화 119 연계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최복수 과장 등의 설명에 따르면, 재난안전 긴급전화 119 연계는 국민 생활안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각종 긴급신고 전화번호가 기관별로 서로 다른 탓에 번호를 일일이 기억하기 곤란한 일반인들이 119를 많이 이용한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지난해 소방상황실 신고전화 1020만건 가운데 약 134만건이 119와 관련 없는 전화였다. 이는 각 시도 소방상황실 근무자와 신고자 모두에게 불편을 불러왔다. 각 시도 소방상황실은 119 신고전화 10건 가운데 1건이 넘는 다른 기관 소관 신고전화를 받으면, ‘소관 업무가 아니’라고 대답하거나 ‘해당기관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수준에 머물렀다.

소방상황실의 소극적 서비스에 119로 신고한 국민은, 소방상황실 근무자들에게 불만을 갖거나 근무자가 알려준 번호로 다시 신고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다. 특히 긴급한 신고전화의 경우, 신고시간이 길어져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지장을 빚기 일쑤였다. 손쉽게 처리 가능한 작은 신고접수가 지연돼 사고가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해 국민 생활편익을 높이고 각종 재난 및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인지도 높은 119번호를 이용해 긴급전화에 대한 ‘원 스톱’ 전화연결 서비스를 추진한다는 게 행안부 재난안전정책과 쪽의 설명이다.

1일 시작된 재난안전 긴급전화 11종에 대한 119 연계 시범서비스는 11종의 긴급전화를 119로 ‘통합’했다는 게 아니다. 말 그대로 ‘연계’했다는 뜻이다. 예컨대 119를 통해 재난안전사고 신고를 하면, 신고전화를 받은 각 시도 소방상황실에서 버튼을 눌러 해당 지역 재난종합상황실로 연결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해당기관별 긴급신고 전화번호 11종은 그대로 유지·운영된다. 특히 모든 민원전화가 119로 연계되는 게 아니란 점에 주의해야 한다. 119 연계서비스는 단순 민원을 빼고 긴급 지원에 한정된다는 것을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한편, 시범서비스 대상에서 경남이 빠진 까닭은 경남의 경우 다른 지역과 달리 소방상황실이 기초자치단체로 나뉘어 있기 때문이다. 경남도 소방상황실이 아닌 각 시군구 소방상황실에서 119 신고전화를 받는 시스템이어서 다른 번호와 연계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재난안전 긴급전화 119 연계 서비스 사업을 맡고 있는 박은실 재난안전정책 사무관은 “경남은 소방상황실이 기초단체로 나뉘어 있어 시범 운영을 거쳐 불편사항을 보완한 뒤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되는 올 연말부터 연계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난포커스 (http://www.di-focus.com) - 이주현 기자(yijh@di-f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