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O BIZ+]공기업 IFRS 구축 한창 - 졸속 구축 우려도 일어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 의무 도입을 앞둔 정부 산하 24개 공기업들이 IFRS 구축을 서두르고 있지만 회계결산 프로세스가 점검되지 않은 상태에서 IFRS 적용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아 졸속 구축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 한국마사회 등 정부 산하 24개 공기업들은 2011년부터 IFRS를 의무 적용해야 하며 그 외 준정부기관들은 2013년까지 의무 도입해야 한다. 희망 준정부기관의 경우 2011년 조기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중반부터 공기업들의 IFRS 도입 컨설팅과 구축 용역 사업이 발주됐으며 최근에도 막차를 탄 공기업들이 IFRS 도입을 위한 컨설팅과 구축 사업을 잇달아 발주하고 있다.

 6월 한달동안 나라장터에는 한국방송광고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IFRS 도입 기반 구축 사업을 발주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국제회계기준(IFRS)의 선진 재무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4억원 규모로 발주했으며 알투소프트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최근 선정했다. 대한석탄공사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기반 구축 용역’ 사업을 발주했고 삼일회계법인이 안진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과 경쟁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한국방송광고공사는 2011년 5월 IFRS 도입 전환을 목표로 이달 5일 컨설팅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지난해 한창 IFRS 도입에 열을 올렸던 금융기관들보다도 공기업의 IFRS는 더 신중히 구축되어야 함에도 구축 기간이 짧고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구축 이후 상당한 난관에 봉착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은행 등 금융 기업의 경우 대출, 투자유가증권, 파생상품 보유 등 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세분화된 평가 대상과 대출 절차가 필요했다. 또 금융회사의 특성상 대규모 자료를 취급하기 때문에 IT 지원이 필수여서 대규모 IFRS 프로젝트로 추진됐다. 이에 비해 공기업은 6~9개월 내 컨설팅과 구축을 완료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기업은 회계 및 관련 프로세스의 정립과 정보화 수준이 낮은 편이어서 IFRS 적용 시 회계 프로세스부터 점검, 재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현재 이런 작업 없이 회계 애플리케이션의 연결결산 패키지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필요한 입력 데이터는 상당부분 수작업으로 가공해서 입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공기업이 IFRS를 적용할 경우 일어나는 중요한 변화는 공정가치 평가다. 금융회사 대비 금융자산/부채가 많지 않지만 비금융상품인 기계, 공장 등 공정가치 평가가 공기업 IFRS의 주요 특징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공기업의 IFRS 적용에서는 공정가치 평가보다 기존의 취득원가를 유지하고 주석사항으로만 공정가치 평가 내역을 기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산의 특성별로 공정가치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평가절차의 객관화가 중요한 관리 포인트가 된다.

 SK C&C 관계자는 “분기 단위 혹은 월단위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 사전 절차를 먼저 점검해야 한다”며 “회계 처리 프로세스를 재정비하는 업무프로세스재구축(BPR)이나 프로세스혁신(PI) 작업이 선행 혹은 동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를 모두 담은 IFRS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한국전력공사 등을 제외하고는 현실적으로는 어려워서 당장 필요한 부분 위주로 도입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의 경우 11개 전 계열사에 대한 IFRS 구축을 동시에 진행해 올 1월 IFRS 시스템을 가동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의 금융회사들도 IFRS 도입 초기 많은 투자가 예상되어 부분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고치고 기존 자국 기준의 회계처리 결과를 IFRS로 수작업 변환했지만 결국 전면적인 프로세스 개선과 전산화를 추진했다”고 공기업의 IFRS 구축 사업을 우려했다.

 공기업이 IFRS를 적용하면 자산의 시가평가로 인한 자본생산성 변화, 자회사 재무정보를 포괄하는 연결재무제표 등에 따라 공기업 경영 평가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박현선기자 hs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