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026000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

 지식경제부는 ‘ISO26000(사회적 책임) 국제표준제정과 이행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효율적 대응방안’ 정책용역사업을 6개월간 수행한 바 있다. 대응방안은 기업과 정부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제시된 기업의 세부 대응방안 중 첫 번째는 최고 경영자의 실천 의지 표명이다. 새로운 제도를 도입·실행 할 때 조직원의 관심을 끌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강력한 실천 의지 표명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대응방안은 ‘이해관계자 선별 및 관계 구축’이다. 사회적 책임 표준의 근간을 이루는 중심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이기 때문에, 기업 활동에서 가장 주요한 이해관계자가 누구인지를 우선 식별하고 이들의 관심사를 파악·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분석이다.

 또 타 업체와의 경쟁이나 분위기 편승으로 기업사회책임(CSR) 도입에 착수하면 거액의 비용을 들이고도 기업 가치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으므로, 도입·추진의 목적을 명확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밖에 기업의 세부 대응방안으로는 △성과측정 기준 및 측정지표 개발 △기존 시스템에 사회책임(SR) 통합 △일상 업무에 SR 통합 실행 △협력업체와 공급사슬 관리 △CSR 보고서 작성 발간 등이 있다.

 정부의 대응방안은 ISO26000 표준 제정 대응, 기반 구축 및 분위기 조성, 신규 기준 및 제도 마련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ISO26000 표준 제정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는 국제표준회의에 참가하고 의견을 제시하며, 국제표준 동향 조사·보급에 힘써야 한다. 또 이해관계자 참여를 조직화하는 한편 표준이행 전담 상설기구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체계적인 홍보활동으로 범국가·사회적으로 사회적 책임 표준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올바른 인식을 유도해야 한다. 또 글로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책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기준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기반 구축 및 분위기 조성 방안의 세부 내용으로는 △ISO26000 국제표준 홍보 및 보급 △CSR 확산 선도 기업 선정 및 국내 벤치마킹 모델 제시 △CSR 보고서 작성 우수사례 전파 및 DB화 △UN 지구협약 등의 국제협약에 자발적 참여 확대 유도 △시민단체와의 협력 및 지원 등이다.

 지경부는 ISO26000 표준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서는 어느 한 부문만의 노력이 아닌 정부·NGO·기업의 세 주체가 협력적 파트너십을 갖고 협조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ISO26000 시대를 맞아 가장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해 우리 기업이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