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

동해안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

2014년까지 동해안 40개 지역 침수예상도 작성

동해안 지진해일(쓰나미)에 대비한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사업이 올해부터 추진된다.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은 동해안 지진해일 피해저감과 효율적인 대응체계 수립을 위한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을 2014년까지 완료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지진해일은 대규모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해안재해다. 2004년 12월26일 발생한 인도양 지진해일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태국 등에서 22만명 이상이 목숨을 잃은 대재앙이었다. 올해도 2월27일 칠레에서 일어난 지진과 그에 따른 지진해일로 700여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지진해일 방재대책 수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1983년과 1993년 동해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해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 지역에 피해를 입힌 사례가 있다. 앞으로도 동해안 지역에선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이에 소방방재청은 지진해일 피해가능성이 있는 동해안의 인구밀집지역과 해일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를 작성하고 대응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구축을 추진중이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현재 국내 지진해일 예·경보 시스템은 지진해일 발생 시 지진해일 도착시간과 지역별 예상파고만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효율적인 대응체계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별 재해관련 상세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진해일대응시스템에서는 지진해일 도착시간과 예상파고 정보뿐 아니라 지진해일 침수예상지역, 지형 특성에 따라 변하는 지진해일 범람양상 등 지역별 지진해일 전파 및 범람특성을 포함시킬 예정이다. 또 지정대피소, 병원과 같은 유관기관 정보 등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지진해일대응시스템 개발을 맡은 국립방재연구소는 먼저 동해안 주요 항만과 여름철 인구밀도가 높고 얕은 해안으로 이루어져 지진해일 피해 가능성이 높은 해수욕장, 과거 해일피해이력과 현재 해일위험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40개소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했다.

또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작성을 위해 동해에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해저지진 단층대를 중심으로, 가상 지진해일 진원지별 11개와 지진규모별 7개 등 모두 77개의 가상지진해일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지역별 77개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고 실제 재난발생 시 시나리오에 따른 정확한 침수예상과 대응체계 수립을 위해서다.

소방방재청과 국립방재연구소는 올해 1단계 사업으로 동해 가상지진해일 시나리오 선정과 동해안 4개 지역에 대한 침수예상도 작성을 계획하고 있다. 나아가 2014년까지 동해안 40개 지역의 침수예상도 및 재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지진해일대응시스템을 구축해 해당 자치단체와 주민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은 “자치단체에서는 이 시스템을 이용해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사전방재대책을 수립하고, 피해발생가능지역과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해, 실제 지진해일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재난포커스 (http://www.di-focus.com) - 이주현 기자(yijh@di-f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