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같은 거시세계에 양자물리학 적용"

"광합성 같은 거시세계에 양자물리학 적용"

“많은 기초과학 연구가 순수한 호기심과 열정에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그런 연구가 결국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의 계기가 됩니다.”

정현석 서울대학교 거시양자제어연구단장의 연구주제는 ‘미시세계의 양자물리학을 어떻게 거시세계에 적용하고 제어할 수 있는갗다. 미시세계란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고 느끼지 못하는 원자·광자·전자들의 계를 의미하고, 양자물리학이란 이러한 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태동된 개념으로 ‘빛 에너지의 최소단위 존재’에 기인한 ‘연속적이지 않은 물리량’을 설명하는 연구 주제다.

정 단장이 양자물리학의 세계로 들어선 것은 그가 말했듯 호기심에서 비롯됐다. 대학생 시절 수업시간에 들은 물리학 수식의 이면을 궁금해 하면서부터다. 그는 “수많은 수식 속에 파묻혔지만 대학 수업만으로는 그 이면의 의미를 알 수 없었다”며 “양자물리학 분야의 유명한 석학들의 책을 탐독하기 시작했고, 그 세계에 점점 매료돼갔다”고 말했다.

특히 그를 사로잡은 것은 슈뢰딩거의 ‘죽은 고양이’ 이야기다. 슈뢰딩거는 ‘죽어 있는 상태와 살아 있는 상태가 동시에 중첩된 상태의 고양이’라는 거시세계의 양자 중첩 상태를 제안했다. 정 단장은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또 이를 어떻게 실제로 구현할 수 있을 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미시세계에선 이러한 양자 중첩 상태가 종종 구현되곤 한다. 전자나 광자와 같은 미시세계 구성 물질은 두 장소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종종 낸다. 또 물리적 거리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작용하기도 한다. 정 단장은 “고전물리학으론 이해하기 어려운 물리 현상들이 미시세계에 있기 때문에 양자물리학 연구가 시작됐고, 이를 거시세계로 이끌어내면 또 한 번의 ‘정보혁신’이 가능해 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 단장은 2007년 거시세계의 양자물리학 구현 및 제어에 첫발을 내디디는 논문을 발표했다. 대규모 광자의 양자 중첩상태를 이론적으로 밝혀낸 것이다. 그는 “거시세계 양자제어가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격려를 줬던 연구 성과”라고 말했다.

양자물리학 연구는 외국에선 더 활성화돼 있다.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컴퓨터가 도저히 풀 수 없는 문제들도 풀어내는 양자컴퓨터나 체계를 모르는 사람은 해독이 불가능한 양자암호 등 유용한 기술의 이론적 배경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 단장이 연구하는 건 이러한 상용화를 위해서만은 아니다. 그는 “많은 학자들이 도전하고 있지만 양자컴퓨터가 상용화 단계에 이를지는 절대 장담 못하는 모험연구”라며 “설령 실패하더라도 과학기술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치게 될 성과들이 나올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정 단장은 앞으로 양자물리학을 거시세계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통합적 연구와 양자물리학의 난제 규명을 통해 식물의 광합성과 같은 거시세계의 물리현상에 양자물리학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통합계를 사용해 새로운 양자 정보처리에 대한 제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성공 가능성을 묻자 그는 “반반”이라고 답했다. 과감한 모험연구에 도전하는 학자다운 신중함과 열정이 동시에 묻어나왔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