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가 신재생에너지를 향한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터키 에너지부는 당초 7월 30일까지 신재생에너지 법안을 통과시키려 했으나 의회의 반대로 또다시 연기됐다.
터키 신재생에너지 법안은 2008년 이래 수 차례에 걸쳐 통과가 지연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꺾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더욱이 초안에서 논의되던 정부 구입가격(Electricity Purchase Guarantee)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돼 민간 에너지 기업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상태다.
터키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가장 큰 에너지원으로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 380억달러 가운데 에너지 수입으로 인한 적자가 300억달러로 80%에 이른다. 수출로 벌어들인 1020억달러의 3분의 1을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에너지 효율성이 유럽연합(EU) 국가보다 크게 낮다. 국내총생산(GDP) 1000유로를 달성하는 데 EU 국가들은 185㎏의 석유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터키는 250㎏의 석유를 필요로 한다.
터키는 지난 10년간 제조업 등 거의 모든 산업부문이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하면서 에너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터키 정부는 원자력 · 수력 · 태양광 · 풍력 · 지열 등 대체 에너지 개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 메이저 기업을 포함한 많은 기업들이 터키 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주목했다.
그러나 터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부문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할 예정이던 높은 수준의 인센티브 법안 통과가 여러 차례 무산되자 당초 논의되던 수준보다 크게 낮은 수준의 인센티브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터키 정부는 최근 1㎾ 기준 풍력에 5.5유로센트, 수력에 5.5유로센트, 지열에 8유로센트, 태양광에 10유로센트, 바이오매스에 12유로센트의 정부 구입 가격을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관련 기업들은 “신규 투자가 불가능할 정도로 낮은 수준”이라며 “관련 산업 전체가 성장하지 못할 것”이라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KOTRA 관계자는 “터키에서 추진할 예정인 사업에 대해 타당성을 신중하게 분석하고 터키 정부의 정책 방향을 상시적으로 주목해야 할 것”이라며 “터키에서 추진되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기술, 장비 및 제품을 공급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사전 시장조사를 통해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