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ain 벤처] 벤처 2.0 시대 - 벤처가 희망이다

한정화 한양대학교 교수는 “벤처는 경제 전쟁시대의 특수전을 위한 전사를 길러내는 곳이다”라고 표현했다. 실제로 벤처는 우리나라가 지난 IMF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동력 중 하나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코스닥과 벤처특별법 탄생으로 벤처기업 시대가 열리면서 극도의 침체에 빠져있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고, 온 사회가 `기업가 정신`으로 들끓었다. 성공하는 벤처가 하나 둘 늘어나면서 이들 기업을 목표로 창업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이공계 대학 선호도도 덩달아 높아졌다. 금융위기에서 갓 벗어난 지금, 우리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도 벤처다. 벤처가 희망이다.



# 사그라드는 기업가 정신



그러나 2001∼2005년 미국에서 터진 닷컴 버블은 고스란히 한국에 영향을 미치면서 벤처에 대한 사회의 열정이 눈에 띄게 줄었다. 실패한 기업인이 재기 불가능한 사회구조가 이때부터 강해지기 시작했다. 많은 벤처 기업가들이 실패로 인해 신용불량자, 심지어 노숙자로 전락했다. 이런 참혹한 모습을 목격한 젊은이들은 창업의 꿈을 접고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몇 년 전부터 공무원이나 교사 등이 `선호도 1위`의 직업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희망의 불씨가 꺼져가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제 2의 벤처 붐을 위해선 기업가 정신이 다시 고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기업가정신은 현상 유지보다는 새롭게 도전해 가치를 창출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2000년 전후 벤처 붐이 일던 시절 그랬듯, 국가 경제에 활력을 주입하고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된다. 일자리 창출에도 큰 몫을 한다. 당시에는 피터 드러커 등 외국 석학이 감탄할 정도로 기업가정신이 활성화된 곳이 대한민국이었다.

하지만 10여년이 흐른 지금의 현실은 비참하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기업가정신 지수를 보면 1999년 41.9에서 2005년 4.5로 급락한 이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청년 창업 비중도 2001년의 54%에서 현재는 10%안팎까지 급락했다. 중소기업청이 제조업체 증가율 및 실질 설비투자 증가율, 민간 연구개발비 증가율을 감안해 계산한 지수 역시 2000년 53.2에서 2007년에는 18로 떨어졌다. 삼성경제연구소의 기업가지수 조사에서도 2000년 61.1에서 2007년 절반 이하인 24.2로 내려갔다.

또 하나 주목할 지수는 기업가정신이 상징하는 `혁신`의 동력인 중소 벤처의 GDP 내 비중이다. 선진국 대부분은 50%가 넘고, 미국은 60% 수준에 육박한다. 우리나라도 한때는 50%를 넘어섰지만 지금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이민화 기업호민관은 “젊은이들의 기업가정신 쇠퇴는 장기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그들의 재도전을 보장하라



△사업 기회 감소 △위험 대비 낮은 보상 △낮은 성공 확률 △재기 불가능한 기업환경. 전문가들이 꼽는 기업가정신 쇠퇴의 원인이다. 일단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기회가 줄면서, 대기업에 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고, 기업가의 열정이 쇠퇴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한창 화두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불공정 거래관행도 찬물을 끼얹는다.

특히 가장 큰 문제가 `재도전 기회`의 박탈이다. 우리나라에서 벤처기업을 운영하다 실패하면 `경제사범`이 되기 십상이다. 실패를 먹고사는 실리콘밸리 성공 업체들의 모범 사례, 즉 `실패경험의 자산화`가 우리나라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다행히 이러한 문제점은 조금씩은 개선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실패했지만 재기 가능성이 있는 기업주에 대해선 신규보증을 지원한다고 이달 초 발표했다. 재기 가능성이 인정되는 기업주가 경영하는 기업에 대해선 구상채권 회수보증(실패한 기업주가 신 · 기보에 상환하야 하는 구상채무를 금융기관의 정상대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보증)과 함께 신규보증이 지원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 현행법상으로는 기술보증기금 · 신용보증기금은 채무를 변제하지 못한 기업과 해당 기업주가 운영하는 다른 기업에 대해서도 신규 보증을 금지하고 있다.

또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청년 기술 · 지식창업 지원대책`에 따르면 기업가의 재도전 기회를 박탈하는 대표적 관행인 대표이사 연대보증제(기업이 망하면 CEO가 모든 책임을 떠안아야 하는 제도)를 벤처기업주에 대해선 완화하기로 했다. 리스크가 큰 기술개발단계의 신용보증 시 연대보증 책임을 일정비율 이하로 축소키로 한 것. 또 벤처기업주에 대한 신용회복 지원범위도 총 채무 5억원 이하에서 15억원으로 확대했다. 물론 이 같은 보완책보다 연대보증제의 원칙적인 폐지만이 벤처창업을 활성화하고 기업가 정신을 극대화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좀비 경제`가 되지 않으려면



안철수 KAIST 교수는 `좀비 경제(zombie economy)`를 우려한 바 있다. 망해가는 기업이 계속되는 덤핑으로 공정가격을 무너뜨리면 결국 다른 기업들까지 망하고 말게 되는 경제 구조를 일컫는다.

벤처에 대한 적절한 정부의 지원은 꼭 필요하지만, 자칫 어설픈 정책은 마치 좀비 경제처럼 벤처 생태계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공공 및 민간 부문에 만연한 `눈먼 돈`이 퇴출돼야 할 기업의 수명을 무리하게 연장시켜 마치 좀비같이 만드는 것이다.

안 교수는 “처음에는 한 좀비(한계기업)만 있었는데, 이 좀비가 다른 건강한 사람을 물어서 좀비로 만들고, 결국 모두 좀비만 남게 된다”고 경고했다.

벤처기업가에겐 기성기업의 CEO와는 다른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고 주장도 있다. 어느 1세대 벤처기업가는 “벤처기업가는 대기업 회장님에 대해 쓴 책을 너무 많이 읽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벤처기업가에겐 그들만의 독특한 기업가정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그가 강조한 것은 `디테일`이다. 그는 “벤처와 기성 기업의 다른 점은 규모나 업종보다는 시스템이다. 벤처 기업에는 무엇보다 디테일이 잘 짜인 시스템이 적합하다”며 “벤처기업가가 기성 기업을 흉내내며 디테일에 무신경해지면 적당히 정부 지원을 받으며 유지하거나 이른바 죽음의 계속에서 빠져 나오기 힘들다”고 말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