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는 창의성, 감성, 직감이 중시되는 개념의 시대다.”(미래학자 다니엘 핑크)
“2025년에는 24시간 사이버세상과 연결된 `사이버 나우(Cyber Now)`가 상용화 된다.”(유엔미래포럼 회장 제롬 글렌)
미래학자들이 전망하는 미래사회의 모습이다. 창의와 감성이 새로운 가치로, 가상현실이 새로운 기술로 떠오른 세계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바뀐 역사의 패러다임이 다시 급변하고 있다. 핵심가치는 `지식`에서 `창의`로, 기술은 `정보기술(IT)`에서 `가상화 · 지능형 기술`로 무게중심이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정보사회, 그 다음 세상은 `스마트사회(Smart Society)`로 불리기 시작했다. 세계 각국이 `스마트 혁명`에 뒤지지 않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에 돌입했다. 마치 1990년대 후반, `산업화에 뒤졌지만, 정보화에 앞서 가자`던 구호와 비슷한 슬로건이 넘쳐난다. `정보화` 대신 `스마트`라는 단어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2010년 대한민국도 변화의 기로에 섰다. `UN 전자정부 평가 세계 1위`로 대변되는 정보기술(IT) · 정보화 강국의 명성을 이어갈 것인가, 다시 뒤처질 것인가.
전조는 산업계에서 먼저 나타나고 있다. 이른바 `아이폰 충격`이 그것이다. 세계를 주름잡던 대한민국 휴대폰 산업은 애플의 스마트폰 일격에 뒤뚱거리고 있다.
애플, 구글 등의 스마트 TV도 출격을 벼르고 있다. 휴대폰에 이어 TV시장에서도 전통강호인 우리 업체들이 흔들릴 위기다.
대한민국 정부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그동안 IT · 정보화 강국에 안주하던 모습과 사뭇 다르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차세대 국가 비전으로 `스마트 코리아`를 제시했다. `스마트 사회`라는 새 패러다임을 더 이상 뒤처지지 말고 주도해나가자는 의지가 반영됐다.
스마트코리아는 국민, 경제, 정부 등 국가의 3대 주체가 똑똑해지는 게 목표다. 전 국가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때만 진정한 스마트코리아로 거듭날 수 있다.
스마트코리아 국가전략은 우리가 처한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 한국은 UN 전자정부 1위에 걸맞은 세계 최강의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앞선 ICT를 활용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나 사회현안 문제 해결에는 미흡하다. 지난해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은 27위에 그쳤을 정도다.
다행히 스마트사회 실현의 핵심 원동력인 ICT다. `아이폰 충격`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정보화 시대에 앞서 나간 잠재력으로 거세게 추격할 수 있다.
정부는 구체적인 실천전략으로 우선 `스마트 워크`를 제시했다. 산업화 시대의 낡은 `하드 워크(Hard Work)`로는 창의성이 중요한 스마트시대를 선도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OECD 평균보다 1.3배나 많다. 그럼에도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절반에 불과하다. 노동의 질보다는 양을 중시하는 구시대적 일하는 방식이 낳은 결과다.
재택, 모바일 근무 등이 가능한 스마트워크는 전통적인 대면 조직문화의 근간을 흔든다. 하지만 노동의 양보다 질, 즉 성과위주로 일하는 방식의 혁명을 이룰 수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각국은 한국보다 ICT 인프라가 뒤지지만 이미 스마트워크에 익숙해지고 있다.
스마트 워크가 성공하면 스마트 의료, 스마트 교육, 스마트 정부 등 사회 곳곳에서 또 다른 패러다임 변화가 속도를 낼 것이다.
마침 스마트폰, 스마트TV, 스마트네트워크 등 스마트사회를 이끌 기술혁명도 급진전을 이루고 있다. 이들 기술의 발달 역시 스마트사회의 발전과 바로 연동돼 있다. 한국이 정보화 시대를 이끌면서 휴대폰, 디지털TV 등 IT 기기 강국으로 우뚝 섰듯, 스마트사회를 선도하면 스마트기기도 정상을 꿰찰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코리아로 가는 길의 저항도 만만치 않다. 스마트워크만 해도 CEO부터 직원에 이르기까지 사고방식과 행동이 180도 달라져야 한다. 인사 평가 등 제도의 변화도 수반해야 한다. 기존 질서에 익숙한 기득권 세력과 충돌도 불가피하다. 교육, 의료 등 전문가 집단이 많은 곳에서는 첨예한 이해관계가 대립하기도 한다.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발전하면서 겪었던 성장통과 비슷하다.
이 모든 변화를 극복하지 못하면 스마트코리아는 자칫 공허한 구호로 그칠 수도 있다.
이각범 국가정보화전략위원장은 “스마트사회로의 진입은 인류문화사적으로도 대변혁을 의미한다”며 “한국이 거스를 수 없는 문명사를 선도할 것인가, 아니면 끌려 갈 것인가 중대한 갈림길에 있다”고 진단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