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 강국에서 스마트사회 강국으로 가자.`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정부부처 등이 `스마트코리아`를 모토로 차세대 국가 발전전략 수립에 대대적으로 나섰다. 이르면 11월 범정부 차원의 스마트코리아 종합계획이 발표될 전망이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지난달 스마트코리아 실행 전략으로 `스마트워크 추진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이를 교육, 의료 등으로 확대하는 `스마트코리아 액션플랜` 수립에 착수했다.
스마트코리아는 정보화 강국의 기틀을 마련한 `e코리아`와 `u코리아`에 이어 스마트사회에 맞춘 새로운 국가전략이다. 그동안의 전략이 정보통신기술(ICT) 개발이나 인프라 구축에 초점이 맞춰진 것과 달리 스마트코리아는 ICT를 활용해 각종 사회 문제와 현안을 해결하는 개념이다.
이각범 정보화전략위원장은 이와 관련,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융 · 복합 기술의 등장으로 기업의 일하는 방식이 바뀌는 등 문명사적 대변혁이 시작됐다”며 “ICT 인프라 강국인 한국은 이를 활용해 고령화, 지구온난화, 범죄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 강국으로 재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해석 청와대 IT특별보좌관는 최근 전자신문과 인터뷰에서 “잘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라는 MB정부의 국정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집권 후반기 IT전략을 `스마트코리아`로 정했다”고 소개했다.
행정안전부 ·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부처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행안부는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전략 발표에 이어 이를 국가 정보화전략으로 확대키로 하고 최근 `태스크포스`를 가동했다.
강중협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은 “기존의 e코리아, u코리아가 단순히 인간 삶을 편리하게 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차세대 전략은 삶의 질을 높이는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 기반 구축, 농어촌 광대역 인터넷망 확산 등 스마트코리아를 위한 `스마트 인프라 고도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또 스마트TV 전략을 통한 방통융합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인터넷 활성화도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다.
신용섭 방통위 방송통신융합정책실장은 “대한민국은 IT분야에서만큼은 이제 선진국의 격차가 완전히 사라졌고, 역으로 새로운 전략을 기획하고 리딩하는 위치에 서 있다”며 “국경 없는 글로벌 사회에서 세계가 대한민국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스마트강국 모델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보화 정책 개발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도 최근 스마트워크지원센터를 신설하는 한편 `스마트코리아 정책 개발 TF`를 가동했다.
심규호 · 장지영기자 khs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