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십 경험자 10명 중 7명은 해당 경험이 실제로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매거진 `캠퍼스 잡&조이`와 취업 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주요 기업에서 인턴십을 경험한 1180명(남자 387명, 여자 7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3.6%는 `인턴 경험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특히 `큰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26.7%에 달해 인턴십에 대한 경험자들의 기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기업들이 지원자의 실무능력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한편, 구직자의 입장에서는 정규직 전환 및 가산점 제도, 취업스펙 쌓기 등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취업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보통이다`라는 답은 각각 10.3%, 14.5%로 집계됐다.
그렇다면 인턴십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은 제도의 효율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취업난이 심화되고 청년 실업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채용시장이 지나치게 기업 중심으로 재편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만큼, 구직자를 배려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됐다.
응답자들은`기업과 구직자 모두에게 효율성 있는 제도라고 생각한다`(38.1%)에 많은 표를 던졌지만,`문제가 있는 제도여서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26%), `기업에게만 효율성 있는 제도라고 생각한다`(22.7%)는 답도 상당수에 달했다.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제도의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기업과 구직자 모두에게 효율성 없는 제도`라며 가차없이 폄훼한 대답도 3.2%를 차지했다.
특히`신입사원 채용시 인턴십 경험자를 우대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88.9%가`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이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정규직 전환`어떤 우대 혜택을 원하냐`는 질문에 전체의 절반이 넘는 50.2%의 응답자가 인턴십 종료 후 신입사원으로 정식 입사하는 것을 원한다고 답했다.
삼성, 신세계 등에서 실시하는 채용 연계 인턴십의 확산을 요구한 셈이다. 이들 기업은 큰 결격사유가 없는 한 인턴십 수료자 전원을 신입사원으로 채용하고 있다.
정규직 전환까지는 아니더라도 `전형 과정에서 가산점 부여`(27.2%) `서류전형 면제`(13.4%) `서류 · 필기전형 면제`(8.7%) 등의 혜택을 꼽은 이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