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서 사용 가능한 `토종카드` 나온다

올해 안에 비자(Visa), 마스터(Master) 등의 로고가 없이도 해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종카드가 출시된다.

1일 비씨카드에 따르면 비씨카드는 오는 12월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등에 의존하지 않고도 외국에서 신용결제를 할 수 있는 카드를 발급할 예정이다.

비씨카드는 미국의 신용카드 회사이자 국제 네트워크 운영사인 DFS(Discover Financial Service)와 제휴해 DFS의 전 세계 가맹점과 현금지급기(ATM) 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DFS는 비자, 마스터보다 가맹점 수는 적지만 전 세계 185개국에 가맹점과 ATM 망을 보유하고 있다.

제휴가 이뤄지면 DFS 회원도 한국의 ATM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비씨카드 관계자는 "우리나라 3~4위 정도의 카드로 1~2위 카드 못지않게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듯이 DFS로도 외국에서 카드를 사용하는 데 전혀 불편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씨카드는 애초 이달 중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DFS와 10~11월 두달간 네트워크 호환 등에 대한 테스트를 거친 뒤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카드 발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새로 출시될 카드는 기존에 국내 카드사가 비자, 마스터에 제공했던 수수료(로열티)를 주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재 국내에서 발급되는 카드는 거의 비자, 마스터 로고가 붙은 해외 겸용 카드이다. 해외에서 단 한차례 쓰지 않았어도 국내 카드사들은 국제 브랜드에 로열티를 제공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김 정(미래희망연대)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우리나라 신용카드사가 국제 브랜드 카드사에 지급한 발급 및 유지 수수료는 420억7천900만원에 달했다.

비자카드가 308억원으로 가장 많고 마스터카드 66억원, 아멕스카드 45억원, JCB 6천600만원 등이었다.

해외 겸용 카드는 국내 전용 카드보다 연회비도 비싼 편이다.

그러나 DFS와는 제휴를 통해 카드를 출시할 때는 로열티를 제공하지 않아 비씨카드는 앞으로 10년간 국제카드 부문에서 약 4천억원의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비씨카드는 2008년 3월부터 중국 국영 카드사인 인롄과 제휴해 비자, 마스터에 의존하지 않고도 중국의 모든 가맹점과 ATM에서 이용할 수 있는 `중국통카드`를 발급해 해외 이용 수수료를 절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