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김반석)이 미국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LG화학과 삼성SDI라는 세계적 전지기업 두 곳이 모두 최대 ESS 수요지인 미국 시장에 진출, 글로벌 패권을 다투게 됐다.
LG화학은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회사인 SCE(Southern California Edison)가 추진하는 `가정용 ESS 프로그램`의 배터리 최종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올해부터 2012년 말까지 3년간 SCE에 ESS용 배터리 공급 및 실증을 진행하게 되며, 추후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는 대량 공급 및 양산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이 공급하게될 ESS용 배터리는 개당 10㎾h 규모로 이 회사의 미국 현지법인인 LGCPI(LG Chem Power Inc)가 LG전자의 인버터 · 통신/제어장치와 LS산전의 충전기를 공급받아 패키지 형태로 최종 조립하게 된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즈미드에 본사를 둔 SCE는 캘리포니아 지역 50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미국 최대 전력회사 중 하나로 전체 전력 중 약 20%에 해당하는 30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하고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분야 대규모 투자를 추가 진행하고 있다.
LG화학은 이번 공급업체 선정으로 SCE를 비롯해 미국에서 진행될 대규모 스마트그리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됐다.
래리 올리바 SCE 이사는 “LG화학과 추진하게 될 이번 프로그램은 경제성과 신뢰성 면에서 훨씬 진보된 ESS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공급업체 선정으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뿐만 아니라 ESS용 배터리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게 됐다”며 “향후 ESS용에 최적화된 고안전성 · 장수명 배터리 개발 등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차세대 신규 사업으로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LG전자 · 한국전력(KEPCO) · 포스코 · GS칼텍스와 함께 제주도에서 진행되는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ESS용 배터리 사업을 위한 전담 조직을 구성해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kr
-
이진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