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휴대폰, 개도국 빈곤 개선에 도움”

휴대폰이 개발도상국의 빈곤을 개선하는 데 쓸모가 있다는 국제연합(UN) 보고서가 나왔다. 올 세계 이동전화 가입자가 50억명을 돌파할 전망인 등 보급률이 치솟아 개도국 시민도 100명에 58명꼴로 휴대폰을 쓰는 환경이 조성된 데 힘입은 가난 개선 효과로 풀이됐다.

17일 로이터와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 정보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세계 이동전화 가입자가 50억명을 돌파해 거의 인구 한 명에 1대꼴로 휴대폰을 보유할 전망이다.

선진국은 이미 보급률 100%를 넘어 휴대폰을 1개 이상 가졌거나 아예 두 개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에 가입한 소비자가 많은 상황이다. 개도국 이동전화서비스 가입률도 58%로 증가했다. 특히 수 년 전 인구 100명에 2명꼴이었던 최저빈곤국가(LDCs)의 휴대폰 보급률이 25명꼴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러시아 빔펠콤이 아랍 지역 이동통신서비스시장의 강자인 오라스콤과 협력해 알제리 등지로 사업영역을 넓히는 것도 개도국 빈곤 개선에 잠재적인 도움을 준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다. 오라스콤은 알제리 이동통신사업자인 제지(Djezzy)를 보유한 업체로 빔펠콤의 가입자 규모를 1억7500명으로 2배가량 늘려놓았다.

UNCTAD는 최저빈곤국가 휴대폰의 경제적 편익이 유선 전화나 인터넷보다 월등한 것으로 보았다. 이동통신 체계가 정보 접근권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자금동원력이 취약한 빈곤국가 시민에게 작은 일거리와 소규모 창업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 예를 들어 거리에서 공중전화처럼 이동전화 통화 시간을 팔거나 휴대폰을 수리 · 청소해주는 사업이 활발하다고 전했다.

UNCTAD는 또 개도국 정부가 휴대폰 보급률 증가에 걸맞은 정책을 설계해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가난한 자국 시민이 휴대폰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늘 점검해 적절한 정책을 펼치라는 것이다. 특히 2008년 말 이후로 세계 최저빈국 시골 인구의 약 50%가 이동전화 신호(전파)가 닿는 구역 안에 거주하는 환경을 활용해 자국 시민의 휴대폰 이용권리를 보장하라고 강조했다.

수파차이 패니치팍디 UNCTAD 사무총장은 “인도가 가능한 한 가장 싼 값에 모든 시민이 휴대폰을 쓸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