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위성 6호, 내달 25일 발사](https://img.etnews.com/photonews/1010/046827_20101020113341_945_0001.jpg)
무궁화 6호 위성이 모든 테스트를 마치고 마침내 위상을 드러냈다.
KT(회장 이석채)는 워싱턴 D.C 현지 공장에서 진행된 무궁화위성 6호의 조립과 테스트가 순조롭게 완료됐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10월 19일 오전 11시 30분(현지시각) 위성체 제작 관련 3사 경영진이 제작완료에 따른 서명식을 가졌다.
발사를 앞둔 무궁화 6호 위성은 지난 1999년 발사되어 2011년 수명을 종료하게 되는 무궁화 3호를 대체해 위성방송 및 위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무궁화 위성 6호는 최근 증가되고 있는 HD방송에 대비하여 성능이 대폭 향상된 Ku밴드 FSS(Fixed Satellite Service : 통신용) 24기와 Ku 밴드 DBS(Direct Broadcasting Service : 방송용) 6기를 장착하여 총 30기 위성 중계기로 고화질(HD), 3차원(3D) 등의 고품질 위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무궁화 위성 6호는 무궁화위성 3호보다 수명이 25% 향상 된 15년간 위성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무궁화위성 3호에 탑재된 니켈-수소(NiH2) 배터리 대신 리튬-이온(Li-lon) 배터리가 장착되어 위성전력 성능저하가 없어 장기간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프랑스의 TAS(Thales Alenia Space)사와 미국의 OSC(Orbital Sciences Corporation)사가 공동으로 제작한 무궁화 위성6호는 미국 워싱턴 D.C 소재의 조립공장에서 최종 조립과 모든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11월 25일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로 옮겨져 프랑스의 Arianespace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될 예정이다.
향후 무궁화 위성 6호 발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무궁화 위성 3호가 수행해오던 위성 서비스에 대해 연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2013년부터 지상파 방송의 전면 디지털 전환에 따라 무궁화 위성 6호로 증가하는 HD방송 수요에 대처할 수 있다.
KT 네트워크부문 김성만 부문장은 “무궁화 위성 6호는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위성방송 시대를 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며, 발사가 성공하면 한국이 보유한 정지궤도 위성 수도 5개로 늘어남에 따라 우주 산업 강국 도약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동인기자 di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