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재무장관회의서 환율문제 막판 `조율`

내달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리는 G20 재무장관회의가 21일 개막해 환율 문제에 대한 막판 조율에 나선다. 경주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중국의 전격 금리인상 등과 맞물려 각국의 글로벌 경제 위기 극복 공조를 예측하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G20 경주회의=20일 기획재정부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등에 따르면 G20 경주회의는 21일 재무차관 · 중앙은행 부총재회의를 시작으로 22일과 23일 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회의로 이어져 환율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 불균형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G20 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는 티모시 가이트너(미국), 조지 오스본(영국), 노다 요시코(일본), 크리스틴 라가르드(프랑스) 등 각국 재무장관이 참가한다. 또 미국의 벤 버냉키, 유럽중앙은행의 장 클로드 트리셰, 중국의 저우샤오촨(周小川) 등 중앙은행총재와 국제통화기금(IMF)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총재,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등도 참석한다.

이번 G20 회의가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의 환율 분쟁이 뜨겁게 달아오른 가운데 열리는 만큼 이번 회의는 환율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의견에 접근할 수 있느냐에 초점이 맞춰진다.

◇우리정부 대응=G20 의장국인 우리 정부는 이번 경주 회의의 원만한 합의를 위해 지난 19일 중국에 고위급 인사를 파견해 환율 분쟁과 관련한 자세한 현황 설명과 함께 중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경주 회의에서 `환율 전쟁은 곧 공멸`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각국의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경주회의에서 환율문제 조정을 위한 대타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의장국 직권으로 중재안에 해당하는 경주선언을 상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근의 환율 갈등이 세계 경제를 공멸로 몰아가며, 환율을 이용한 보호무역주의에 각국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는 선언적 내용이다.

변수는 최근 벌어진 중국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이다. G20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11월 정상회의를 앞두고 3년 만에 이뤄진 중국의 금리 인상은 명목상으로는 자산버블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미국 등 선진국들의 위안화 절상 압박에 대한 대응책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금리인상과 환율전쟁=중국은 9월 이후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를 2% 넘게 끌어올렸지만 티모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부 장관은 서울G20에서 위안화 절상을 추가로 요구할 것이라고 공언하는 등 미국은 위안화 절상 압박을 계속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G20을 앞두고 금리를 올려 수익을 노리는 달러화 자금이 유입될 경우 위안화가 절상되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일단 미국의 예봉을 피하는 명분을 축적하고 G20회의에서 위안화 문제가 중점 거론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위안화 절상을 용인하는 자세를 보여주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만약 중국이 위안화 절상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인다면 이번 경주회의에서 환율전쟁과 관련된 대타협이 이뤄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이번 경주 회의에서는 프레임워크 세션에서 글로벌 불균형의제가 논의되는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환율 문제가 거론될 것”이라며 “우리는 의장국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표>G20 재무장관 · 중앙은행총재 회의 일정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