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기술 유출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것은 그만큼 보안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보안 관리 인프라가 거의 갖춰져 있지 않거나 임직원 교육이나 관리지침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기업이 60%에 육박하고 있다.
중기청이 올해 5월 전국 160개 중소기업을 상대로 실시한 `기술보안 현장클리닉`에서는 참여기업 88%가 외부로 유출되면 피해가 예상되는 중요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기밀 유출에 심각한 위협을 느끼는 기업도 65%에 달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보안인프라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금이나 인력이 없어 투자할 엄두를 못내고 있기 때문이다.
보안과 관련한 투자를 아예 하지 않는 기업이 78%에 달했고 보안규정 자체가 없는 기업도 59.4%를 넘었다. 특히 외부인 출입 시 출입관리대장조차 없는 기업이 78.8%에 달해 극히 낮은 보안의식을 드러냈다.
기술 유출 범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퇴사자 관리도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모든 퇴사자 동향을 파악하는 기업은 12.5%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기술 유출 사고를 당한 기업은 14.7%에 달했으며 유출기업이 2회 이상 유출피해를 입는 경우도 45.7%를 기록했다.
정부의 중소기업 보안관리 지원책에 대해 만족한다는 의견은 10.6%에 불과해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을 기대했다.
특히 가장 시급한 지원책으로 보안시스템과 같은 인프라 구축 지원을 73%로 첫 손으로 꼽았다. 또 현장방문 진단과 보안상담(55.6%), 기술보호설명회(25%) 등 전문가의 클리닉 활동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기술 유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비스 지원의 필요하다는 기업도 76.3%에 달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