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은 국제적 합의에 따라 모든 나라, 기업이 따라야 하는 일종의 기준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도 표준이 되지 못해 사장된 기술이 적지 않다. 반면에 표준의 선점은 다른 경쟁자에 대해 진입장벽을 칠 수 있는 중요 수단이 된다.
국제표준에 맞춰 제품을 만들고 스펙을 따르는 것이 수동적 대응법이라면, 국제사회에 자신의 표준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선점하려는 노력은 더욱 능동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표준에 맞춰 제품을 만들던 단계를 넘어 우리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만드는 선제적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로,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3D 산업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전략을 통해 국제표준 선점에 나서기로 했다.
3D분야는 성장 가능성은 무한하지만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일관된 기술 방향이나 주도권이 뚜렷하지 않다. 우리나라가 조기에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한다면 우리 기업이 3D 산업의 세계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과거에는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별개의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표준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도 낮았다. 또 과거의 우리나라처럼 선진기술을 따르는 수준이었다면 단순히 만들어진 표준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면 됐다. 하지만 세계 최고의 기술과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표준화에 대한 준비가 R&D와 함께 병행돼야 한다.
3D 분야 이외에도 스마트그리드나, 융합 신산업 등 우리가 선점해야 할 신성장분야는 많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과 함께 국제표준화 논의를 함께 진행해 표준화를 바탕으로 한 산업 선점 효과를 노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