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 30년]<8>본궤도 오른 산업체 관리

산업체에 대한 에너지 관리는 1980년대 말 다시 본격화됐다. 에너지관리공단 직원들이 한 기업의 에너지 관리 실태를 진단하고 있다.
산업체에 대한 에너지 관리는 1980년대 말 다시 본격화됐다. 에너지관리공단 직원들이 한 기업의 에너지 관리 실태를 진단하고 있다.

에너지관리 사업은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산업체 부문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열관리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초창기, 산업계 열관리에 관한 기초자료는 전무한 상태였다.

이에 정부는 1974년부터 1979년까지 에너지절약형 산업구조에 관한 조사, 업종별 열관리방법 제정, 보일러 실태 및 대책 조사, 산업체 에너지절약 특별조사 등 우리나라 산업계의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실태 조사를 했다.

1979년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정부는 기존 열관리협회를 에너지관리공단으로 확대 재편하는 등 발 빠른 대응으로 석유파동의 영향을 최소화했다.

하지만 이도 잠시, 1980년대 중반까지 이어진 저유가 시대로 인해 에너지 절약은 옛날이야기가 돼 버렸다. 한때 배럴당 40달러에 육박하던 유가가 10달러 대로 급락했으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 당시 정부는 에너지 및 자원을 담당하던 동력자원부를 통폐합했다. 대체에너지로 각광받던 태양열 급탕설비 보조금 지급도 중단했다.

국내 에너지 사용량의 40% 가까이를 차지하는 산업체에 대한 에너지관리가 다시 고개를 든 건 1980년대 말이다.

에너지 절약이나 효율 개선은 남의 일이 돼 버린 저유가 시대에, 에너지관리공단은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관련 대책을 수립한 것이다. 바로 ‘1조원 에너지절약 대책’이다. 쉽게 말해 산업체 부문의 에너지 절약으로 1조원을 아끼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에너지 진단업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김형진 에너지관리공단 경영지원실장은 “1조원 에너지절약 대책은 당시 문홍구 이사장이 직접 수립을 지시했고 심수섭 공단 총괄과장이 주도해 마련했다”며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대책”이라고 회상했다.

김 실장에 따르면 이 대책은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그뿐만 아니라 1989년 발발한 걸프전으로 인해 국제유가가 올랐을 때도 기업의 면역력이 강화돼 큰 어려움 없이 대처할 수 있었다.

1990년대 들어와서 에너지관리공단은 국내외 최신 자료를 입수, 분석해 관련 분야 산업체에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약정보 수요조사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 매년 기술정보지와 기술정보 팸플릿 등 200여 건의 조사자료를 배포했다.

1992년 이후부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다소비 194개 업체에 대해 ‘에너지절약 5개년 계획’을 작성토록 했다. 이들 업체가 생산하는 주요제품 161개 품목에 대해서는 목표에너지원단위를 설정해 매년 이행상태를 점검, 관리했다.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을 위해 추진된 목표에너지 원단위 관리는 1994년까지 공단의 단위사업으로 추진됐고, 1995년부터는 ‘에너지다소비 산업체 특별관리’ 단위사업의 1개 항목으로 1997년까지 이어졌다. 1998년부터는 에너지 다소비공장 지도관리, 에너지절약 자발적 협약, 에너지절약전문기업 육성 등 신규 사업 등장으로 목표에너지 원단위 사업은 중단됐다.

2000년대 들어 에너지공단은 에너지 절약시설 발굴과 투자 유도를 위해 국내외 신기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했다. 특히 연간 2개 업종을 선정, 폐열발생현황을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기술지도를 실시하는 등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에 중점을 두고 에너지관리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