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DMB 생존 해법 나올까

좌초 위기에 놓인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사업자들이 수익성 확보와 음영지역 해소라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무료 서비스로 고착화된 지상파 DMB에 유료화 개념을 접목하고 전파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DMB의 재난방송 의무화 등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관련 업계는 주장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세계 첫 상용화` 명성을 바탕으로 해외 수출을 추진 중인 지상파 DMB 사업을 이대로 방치할 경우 국내 DMB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인식하에 대책을 준비 중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상파 DMB의 유료화 여부 검토 방안을 12월 중 방통위 회의에 올릴 방침"이라며 "공짜라는 인식이 강한 지상파 DMB에 유료화를 적용하는 게 맞는지, 어떤 방식이 적당할지 상임위원들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가 일반폰과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지상파 DMB를 시청할 수 있는 단말기는 크게 늘었지만 지상파 DMB의 고질적인 저수익 구조는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지상파DMB특별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분기까지 지상파 DMB를 탑재한 단말기의 누적 판매량은 3416만대를 넘었다. 특히 DMB 내장 휴대폰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국내 휴대폰 제조사가 갤럭시S 등 전략 스마트폰에 잇따라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을 탑재한 덕분이다.

그런데도 지상파 DMB 사업자는 수익성 악화에 시달린다. 6개 사업자의 분기별 광고 매출은 40억원가량에 불과하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계열업체는 그나마 버틸 만하지만 한국DMB, 유원미디어 등 독립 사업자는 사업 존폐를 걱정해야 할 수준이다.

관련 업계는 유료화 추진 방안으로 DMB 휴대폰이나 단말기를 이용자들이 구입할 때 1만원 정도의 초기 개통비를 포함시키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월정액을 받는 것보다 심리적 저항감을 줄일 수 있고 덜 번거롭기 때문이다.

지상파DMB를 재난방송 의무 전송매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터널이나 지하공간 등의 DMB 음영지역 해소를 도시철도공사나 서울메트로 같은 시설 사업자가 담당해야 한다는 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DMB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수신설비 구축 의무를 해당 시설 사업자가 맡게 되면 DMB 사업자들의 투자 부담을 한결 덜 수 있게 된다. 현재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법안이 의원 입법 형태로 발의돼 있다.

김민종 한국DMB 부장은 "부분 유료화 재원을 음영지역 해소에 투자하고 지하철ㆍ터널 등 시설 관리 주체의 참여를 이끌어내 DMB 사용자들의 불만을 해소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황인혁 기자/최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