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간정보 산업에 3000억원 투자

 국토해양부는 새해 총 3000억원의 예산을 들여 공간정보(GIS)산업을 육성한다.

 국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확정해 본격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419억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국토부는 △국가공간정보체계구축 등 상호협력적 거버넌스 분야에 848억원 △유통체계구축 등 공간정보접근 분야에 71억원 △공간정보 상호운용 분야에 28억원 △공간정보 기반통합 분야에 960억원 △지능형국토기술혁신사업에 134억원을 투자한다. 16개 시도에서 추진하는 공간정보사업에도 1215억원을 투자한다.

 국토부는 새해 국가공간정보에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공간정보참조체계(UFID)사업을 본격화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스마트폰 등에서 공간정보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또 부동산 행정정보 일원화사업을 새로 추진한다. 18종의 부동산 공적장부를 장기적으로 1장으로 통합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다는 취지다.

 국토부는 또 오는 2015년까지 시 단위에서 추진하는 지하시설물 통합 전산화 사업을 군 단위로 확대한다.

 공간정보산업의 고용창출효과는 10억원당 30명 수준으로 제조업 12명, 건설업 18.7명보다 높다. 국토부는 공간정보산업으로 내년에만 약 9000명의 고용창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주현종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과장은 “공간정보산업은 건설업이나 제조업과 달리 토지비, 재료비 등이 없어 고용창출 효과가 크다”며 “IT분야와 융합해 미래 국가성장을 이끌어가는 신규산업 창출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인프라로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차질없이 사업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

G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