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11의 가장 큰 이슈를 꼽는다면 스마트 TV를 가장 먼저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이번 행사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V 업계를 쥐락펴락 하는 업체들이 대부분 관련 제품을 선보였으니 그럴 만도 하다.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해 파나소닉, 샤프전자, 소니, JVC 등이 모두 스마트 TV를 전시했다.
흥미로운 점은 모두가 스마트 TV를 표방하지만 저마다 취하는 전략이 다르다는 것. 우선 가장 먼저 시장에 진출한 삼성전자는 개발자와의 상생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확보와 디지털 기기와의 연동 기능에 중점을 두는 모양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콘테스트를 통해 양은 물론 질적인 면에서 경쟁사를 압도하겠다는 전략을 펴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 스마트 TV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회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들이 많고 3D 그래픽은 물론 3D 화면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UI와 메뉴 구성도 작년에 선보인 스마트 TV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한 형태이며 소셜 기능을 결합해 친구가 추천해 주는 영화나 DVD 타이틀을 함께 감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LG전자는 쉽고 빠른 스마트 TV를 목적으로 한다. 손의 움직임에 따라 커서가 함께 이동하는 매직모션 리모컨을 통해 누구나 간편하게 스마트 TV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와 달리 VOD 위주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우선 확보하고 그 다음으로 양질의 애플리케이션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 관계자에 따르면 개발자 지원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확보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파나소닉도 삼성전자, LG전자와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스마트 TV 플랫폼을 이용한다. 비에라라고 이름 붙여진 스마트 TV 플랫폼으로 단순히 TV뿐 아니라 태블릿은 물론 가정 내 디지털 기기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연하지만 애플리케이션도 자체 마켓플레이스를 쓴다.
소니의 경우 이미 알려진 것처럼 구글 안드로이드와 인텔 프로세서, 그리고 로지텍과 함께 공동으로 만든 스마트 TV를 쓴다. 구글 맵스, G메일 등 각종 구글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VOD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다소 복잡한 입력 장치도 스마트 TV를 처음 쓰는 사용자에게 걸림돌로 보인다.
샤프와 도시바도 자체 스마트 TV 플랫폼을 쓰지만 앞서 설명한 회사들과 비교해 부족한 느낌이다. 넷플릭스, 부두와 같은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업체와는 제휴가 되어 있지만 특별히 눈에 띄는 애플리케이션이 보이지 않는다. 이 두 회사의 경우 스마트 TV보다는 3D TV에 더 주력하는 모습이다.
스마트 TV 시장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아직 부족한 점도 적지 않다. 예컨대 아직 불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소 느린 처리 속도가 대표적이다. 스마트 TV 업계 관계자는 “VOD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확보와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 문제를 해결해야 하니 각 업체들마다 독자 노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려 할 것”이라며 “몇 년 뒤라면 모르겠지만 지금 당장 구글을 제외한 각 TV 업체 간의 협력은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Buzz 이수환 기자 shulee@ebuzz.co.kr
▶CES2011 특집 바로가기[http://www.etnews.co.kr/2010_html/ces2011.html]
▶Buzz CES2011 더보기[http://www.ebuzz.co.kr/content/buzz_keyword.html?keyword=CES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