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RNA 전사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김영대 연구원
김영대 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선우중호)은 최근 GIST 전창덕 교수(생명과학부) 연구팀이 염증부위로 빠르게 움직이는 백혈구에서 높게 발현하는 새로운 RNA 전사조절 유전자의 존재를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전 교수 연구팀은 이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주로 핵(DNA가 있는 곳)에서 존재하며, 마치 맑은 밤하늘에 보이는 별과 같이 반짝이는 형태로 발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 교수는 이 유전자의 이름을 ‘핵에 있는 반짝이는 단백질’이란 이름의 ‘Nuclear Speckle-related protein 70(NSrp70)’라 지었다. 여기서 ‘70’은 이 단백질의 무게가 70kDa(킬로 달톤)이란 뜻이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분자생물학 분야 학술지인 Nucleic Acids Research지 2011년 2월 3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논문에는 김영대 박사과정 학생(생명과학부)이 제1저자로, 전창덕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결과로 밝혀진 신호 펩타이드는 향후 핵 내로 특정 약물을 투여할 때 응용 가능성이 있어 상업적 유용성도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창덕 교수는 “실험 결과, 이 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없앤 유전자 결핍 쥐(knock-out mouse)의 경우, 태어나기도 전에 죽었다. 이는 이 유전자가 생명체의 발달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유전자란 것을 의미한다“며 ”이 단백질이 원래 밝혀진 것이 백혈구 세포이기 때문에 면역질환이나 암의 발생, 또는 생명체의 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RNA 전사 조절인자 (Splicing factor) : 세포에서 DNA → RNA → 단백질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단백질의 뼈대가 되는 부분을 RNA 단계에서 일부를 제외하거나 첨가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조절자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명체는 적은 수의 유전자를 갖고도 많은 수의 단백질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 : 펩타이드(peptide)란 단백질을 이루는 구성요소인 아미노산이 연결돼 있는 서열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신호 펩타이드란 단백질이 세포내의 특정위치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암호화된 아미노산 서열을 말한다. 이러한 신호 펩타이드는 마치 닫쳐진 문을 열수 있는 열쇠와 같아서 세포의 특정기관으로 단백질을 옮길 수 있게 만든다.

전창덕 교수
전창덕 교수
GIST, RNA 전사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