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발전소도 쓰나미와 지진·태풍 등 대규모 자연재해에 대비한 보완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2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이란 주제의 포럼에서 “국내 원전의 지반고가 10m이기 때문에 쓰나미가 와도 안전하다고 하지만 3m의 쓰나미가 초속 10m로 밀려오면 10m의 지반고는 가볍게 넘는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특히 국내 원전의 뒤쪽으로는 대부분 산악지형으로 밀려온 쓰나미의 물이 빠져나갈 곳이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동시에 그는 대형 태풍이 동해로 빠져나갈 때에는 대규모 해일을 동반하는데 이에 대한 대비책이 갖고 있는지를 정부 측에 물었다. 그는 “현재로서는 원전의 지반고를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원전 주위의 방벽을 더 높이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도 “일본 혼슈·홋카이도 서북연안에 대규모 역단층 있어 7.0 이상 지진이 수년, 수 십년에 한 번씩 발생 한다”며 “이 단층에서는 8.0~9.0 이상 지진도 가능한 만큼 국내 원전 설계 시 예상 쓰나미 높이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양희 한국지진공학회장은 후쿠시마원전 설계 시 고려한 강도가 0.4g(지반가속도)인데 비해 실제로 받은 힘은 5배가 넘고, 실제 쓰나미 높이도 설계높이의 3배에 달한 사실을 강조했다.
한반도에도 규모 6.5 이상 지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한반도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다”며 “그러나 7.0 이상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 있다. 한반도 좌우의 이 두 지역은 매우 취약한 지질구조로 이번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강진이 빈발하는 곳이다.
김무환 포항공대 첨단원자력 공학부 교수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기가 들어가야 움직이는 시스템(액티브 시스템)의 문제, 원자로 데이터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의 대처방법, 원자로 수소 제어의 중요성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