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규모 6.5 이상 지진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을 받았다. 한반도가 지질학적 위치 및 구조 상 일본ㆍ중국 등 인접국가보다 강진 가능성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얘기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3월23일 서울 테헤란로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 주제 포럼에서 이같은 주장했다. 그는 "한반도의 역사적 지진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다"고 말을 하고 "그러나 7.0 이상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헌철 박사에 따르면 한반도는, 판경계에 놓여 있는 일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음을 놓고 있을 수도 없다고 얘기한다.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 있다. 한반도 좌우의 이 두 지역은 매우 취약한 지질 구조라는 설명이다. 이 두 지역은 이번에 발생한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강진이 빈발하는 지역이다.
한반도는 현재 판구조론 입장에서 보면, 인도양판이 유라시아판을 미는 힘과,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ㆍ필리핀판을 미는 힘을 동서 방향에서 같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양쪽에서 미는 힘은 일본이나 중국 지역에서 먼저 지진 같은 형태로 힘을 소진하면서 국내에 끼치는 영향은 실상 적어진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한반도 강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이미 한반도에서 지진이 일어난 과거 역사적 기록은 분명히 남아 있다. 승정원일기를 보면, 1643년 7월 24, 25일 울산 동쪽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땅에 구멍이 났고 이후 물이 솟아 모래가 높이 쌓였다고 나와 있다. 전문가들은 이 정도 피해상황이면 과거에 일어난 이 지진의 강도가 7~9정도까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려사를 보면, 불국사와 석가탑 등이 지진으로 붕괴해 다시 지었다(중수)는 기록이 있다. 오늘날에도 불국사에 가보면, 요즘 입장에서 보면, 내진 설계 측면에서, 돌담을 쌓은 현장을 볼 수 있다. 이는 경주 동쪽에서 강진이 과거에 일어났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실제로 지질학적 조사를 하면, 경주 동쪽 지역에서 활성단층 흔적이 많이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지헌철 박사는 과거 일본 및 중국 강진 시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도 같이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는, 추가령ㆍ옥천ㆍ양산 단층 부근이 손에 꼽혔다.
행사에 참가한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도 이같은 지헌철 박사 가설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일본 혼슈ㆍ홋카이도 서북연안에 대규모 역단층 있어 7.0이상 지진이 수년, 수십년에 한 번씩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단층에서는 8.0~9.0 이상 지진도 가능한 만큼 우리나라 원전 설계시 예상 쓰나미 높이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존에 지어진 원자력발전소 내진 설계 기준을 높여서 더 큰 지진에 대비해야 하고, 앞으로 새로이 짓는 원전도 내진 설계 기준을 지금보다 훨씬 더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난포커스(http://www.di-focus.com) - 유상원기자(goodservice@di-f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