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서방, 韓자본시장서 돈줄로 급부상

미국과 유럽자금이 주류인 한국 자본시장에 중국자금이 새로운 자금공급 원천인 돈줄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위안화 절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자본수지를 적자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런 만큼 중국자금이 새로운 수급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29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말 우리나라 채권시장에서 중국계 자금 비중은 `제로`(0.2%)에 가까웠지만 2010년 말 9.3%까지 증가했다.

중국자금의 평균 만기는 4년으로 일본 다음으로 가장 길다. 중국과 함께 투자 비중이 급증한 미국과 룩셈부르크(평균 만기 2년), 태국(1.1년)이 단기채권의 만기 보유 전략, 금리 차익거래용으로 한국채권에 투자한 것과 달리, 중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

증시에서도 금융위기 이전까지 중국자금의 투자 실적은 거의 전무했지만, 2008년 3천700억원 순매수에 이어 2009년 8천600억원(전체 외국인 순매수 금액의 3.6%), 2010년 1조원(4.6%)을 순매수했다.

올해 1~2월에도 유럽과 조세회피지역 헤지펀드가 적극적으로 한국 주식을 매도한데 반해 중국자금은 매달 2천억~3천억원 상당의 매수 기조를 지속했다.

아직 자금 규모 자체는 크지 않다. 그러나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국인 중국은 위안화 절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자본수지를 적자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 중국자금의 한국 자본시장 영향력은 중장기적으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 중국 지도부는 작년 12월 개최된 경제공작회의에서 국제수지균형을 위해 ▲CIC로 대표되는 국부펀드 ▲QDII(중국 기관들의 해외 포트폴리오투자) ▲ODI(중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등을 통해 해외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중국 외환보유고는 작년 말 2조8조천달러에 육박했지만 CIC 투자규모는 4천억달러, ODI는 2천500억달러 수준에 불과하고 QDII는 아직 시행 초기 단계라 훨씬 더 적어 모두 합쳐도 아직 외환보유고의 4분의 1 수준밖에 안 된다.

박소연 애널리스트는 "외환보유고 증가에 따른 위안화 절상 압력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라도 CIC 자본금 증액, QDII와 ODI 허용 규모 확대는 필연적이다. QDII는 중기적으로 60억달러 이상을 한국시장에 추가로 투자할 가능이 있다"고 말했다.

작년 말 90개 중국의 투신, 보험, 은행 등에 대한 QDII 인가 금액은 696억달러에 불과하다. QDII가 2천100억달러로 3배 정도 확대되고 한국증시 투자비중이 4.6%로 유지된다면 한국시장 투자금액은 현재보다 60억 달러 이상 증가하게 된다.

보유 외환의 효율적 활용을 목적으로 싱가포르 GIC와 테마섹을 모델로 2007년 9월 CIC도 국내 운용사에 위탁하는 한국전용펀드를 출범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여 중국 자금 증대 예상을 가능케 한다.

박 애널리스트는 "`오일 머니`인 중동계 투자자는 2009년 중반까지 활발하게 들어오다 작년부터는 뜸하다. 주류 외국인은 분명히 북미와 유럽, 조세회피지역 투자자지만 늘어난 외환보유고, CIC 자본금 증액, QDII의 허용 금액 확대 이슈를 볼 때 중기적으로 차이나머니는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