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간 `스마트 정부`에 2조원 투입

 정부가 언제 어디서나 정부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2015년까지 2조원을 투입한다.

 스마트폰·소셜네트워킹·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정보기술(IT) 변화에 맞춰 전자정부 서비스도 한 단계 끌어올려 세계 최고 전자정부 위상을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행정안전부는 29일 첨단 IT를 정부 서비스에 접목해 맞춤형 국민 서비스와 실시간 국민 참여와 소통이 가능한 ‘스마트 전자정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5면

 이 계획에는 △세계 최고의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 △(IT로) 안전하고 따뜻한 사회 구현 △스마트워크 활성화 △소통 기반 맞춤형 서비스 △기초가 탄탄한 전자정부 인프라 구현 5대 어젠다 43개 세부과제가 담겼다.

 행안부는 이를 위해 올해 4000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총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스마트 전자정부는 우선 ‘내 손안의 전자정부’를 표방한다.

 고장난 가로등이나 움푹 팬 도로와 같은 민원을 국민이 스마트폰으로 찍어 구청에 바로 신고하면, 공무원이 현장에 출동해 민원을 처리한 뒤 신고자에게 처리 상황을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식이다.

 민원 서비스는 물론이고 공무원 업무방식도 모바일 환경으로 재편된다. 민원24·홈택스·나라장터 등 주요 서비스가 모바일로도 제공되고, 위치기반·증강현실 등 신기술을 활용한 대국민 서비스도 대거 발굴된다.

 민원서비스는 나이·성별·관심사 등에 맞춰 생활정보를 통합 제공해주는 맞춤형 서비스로 진화한다. 트위터 등 SNS도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치안·재난 등 최근 대두된 사회문제도 IT로 더욱 스마트하게 해결한다.

 센서 기술을 활용해 재난이나 치안 취약지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재난 시 유무선 통합 알림 서비스로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구제역과 같은 가축 질병관리대응시스템도 구축된다.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서는 2015년까지 스마트워크센터 50개를 개설하는 등 ‘모바일 오피스’가 대거 구축된다. 세종시 이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등에 대비한 원격영상회의·사이버 협업일터 등 ‘디지털 행정협업시스템’도 대거 가동된다.

 전자정부 인프라도 누구나 안전하게 이용할 수 개념으로 대거 업그레이드된다. 전자정부 서비스의 웹 표준 준수, 무선보안 강화 등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미래 사회는 사회 안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배려·나눔의 문화가 확산되며, 양극화 해소를 통한 사회통합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상할 전망”이라며 “스마트 전자정부를 통해 국가 사회 현안을 해결하고 국민들에 한층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 전자정부 특징

 

 

 ◇ 2011년 스마트 전자정부 예산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