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정부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파장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까지로 비화될 조짐이다. 특히 신공항 백지화 이후 영·호남 민심을 달래려 과학벨트사업을 분산배치 할 것이란 ‘빅딜설’이 나돌면서 과기계와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30일 대국민 담화문에서 “정부는 신공항 입지평가 과정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다”며 “국책사업은 입안하는 단계에서부터 경제적 기술적 타당성을 철저히 점검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를 이뤄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특정사업 추진이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낳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인식했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직접 과학벨트와 관련된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상반기 중 입지선정을 앞둔 국책사업 과학벨트는 입지선정과 지역 간 경쟁 측면에서 신공항 사업과 유사한 측면이 적지 않다. 때문에 과학벨트 사업도 대선공약 중 하나였고 위원회 구성 후 입안단계에서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다는 판단이 나오면 이 사업도 백지화할 수 있다는 해석까지 가능하다. 동시에 신공항 백지화 반발에 대한 무마용 후속대책으로 과학벨트의 분산배치설을 내놓을 가능성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대해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과학벨트와 관련해서는 대답할 위치에 있지 않다”며 이에 대한 언급 자체를 회피했다.
이와 관련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는 30일 “충청권에 공약한 과학벨트사업을 분산배치 한다는 것은 이이제이(以夷制夷)의 책략”이라며 비판했다. 민주당 역시 여당 내 충청권 인사까지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어 ‘과학벨트 분산배치’ 운을 띄운 정부와 대충돌이 예상된다.
과기계는 과학벨트의 분산배치는 결코 안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 7개 단체는 지난달 28일 공개토론회를 개최하고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과학벨트의 분산배치설은 당초 과학벨트 구축의 원래 취지를 크게 훼손할 우려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