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후보지를 둘러싸고 지역별 나눠먹기 식으로 분산배치할 것이라는 이야기에서부터 한지역 올인 설까지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기됐다.
현재 가장 유력한 것으로 나오고 있는 시나리오는 대전 거점지구, 대구 및 광주 기능지구 지정설이다. 대전의 6000만㎡에 달하는 대덕특구내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기초과학연구원을 배치하고, 대구 및 광주에 20~30개의 리서치 유닛(센터급)을 둘 계획이라는 것.
이 그림은 그동안 대덕연구단지 연구원들이 줄기차게 주장해온 대덕 과학단지 확장설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연구시설이 집적된 대덕이 전국 R&D 보급의 허브 역할을 하도록 해야 시너지 효과가 나올수 있다는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덕특구 내에 중이온 가속기가 함께 설치된다면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이 적절히 조화를 이룰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리서치 유닛이 꼭 대구나 광주에만 있을 필요는 없어 대전을 중심으로 전국 전역이 연구망으로 연결될 공산도 크다. 전국 R&D 허브론과 맥이 닿아 있다.
대전-대구-광주를 연결하는 과학벨트 구성도 입질에 올라있다. 서상기 의원(한나라당)을 중심으로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국토균형발전 측면에서 논리적인 설득력을 갖고 있어 정부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전-대구-광주가 과학벨트를 균등히 나눠가질 경우 대략 필요한 예산만 10조원 가량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대전 및 충청권이 강력이 반대하고 있어 쉽게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그러나 이 또한 지역균형발전론에 부합하는데다 과학이라는 것이 반드시 과학적으로 풀리는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어떠한 결정이 내려질지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대덕이 현재는 과학기술연구기관이 집적돼 있지만 이 또한 인위적으로 정부가 육성해놓은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변수도 있다. 과학벨트 대상에서 빠져있는 세종시다. 정부는 세종시에는 할만큼 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초 세종시의 성격이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과학도시로 변모하며 과학벨트가 위치할 최적지라는 평가가 나왔던 만큼 이 또한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다. 현재 세종시는 과학벨트 후보지에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때문에 향후 충청 지역의 강한 반발도 예상할수 있다.
일각에서는 대구시가 1300억원이 투입되는 한국뇌연구원을 대구로 가져가는 대신 과학벨트를 포기했다는 설도 나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 가속기 모두가 영남권으로 갈 것이라는 설도 있다. 최근 영남권에는 가속기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있는데다 대구경북지역이 독일 막스프랑크 측과 기초과학 육성에 관한 협력을 꾸준히 강화해와 이같은 추측을 가능케 하고 있다.
중이온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분리하는 소문도 돌았으나 이는 정부가 함께 배치하기로하는 방침이 정해지면서 일단락된 상황이다.
출연연의 한 관계자는 “어느곳이 되더라도 지역간 갈등과 후유증은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앞으로 이를 어떻게 봉합할 것이냐가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