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제4중질유분해 시설 기공

GS칼텍스는 12일 전남 여수 공장에서 하루 6만배럴 규모의 제3중질유분해시설의 준공과 2013년 완공 목표인 1일 5만3000배럴의 제4중질유분해 시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주승용 의원,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김황식 국무총리, 박준영 전남도지사, 김성곤 의원, 박영준 지경부 제2차관.
GS칼텍스는 12일 전남 여수 공장에서 하루 6만배럴 규모의 제3중질유분해시설의 준공과 2013년 완공 목표인 1일 5만3000배럴의 제4중질유분해 시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주승용 의원,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김황식 국무총리, 박준영 전남도지사, 김성곤 의원, 박영준 지경부 제2차관.

 GS칼텍스는 12일 전남 여수 공장에서 하루 6만배럴 규모의 제3중질유분해시설 준공과 2013년 완공 목표인 하루 5만3000배럴의 제4중질유분해 시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제4중질유 분해시설이 2013년에 완공되면 GS칼텍스는 하루에 26만8000배럴의 국내 최대 고도화능력과 35.3%의 국내 최고 고도화 비율을 갖추게 된다. 특히 제4중질유분해시설이 완공되는 2013년에는 GS칼텍스의 수출액이 2010년 170억달러보다 60% 증가된 2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총1조1000억원이 투입되는 제4중질유분해시설은 유동상촉매분해시설(VGO FCC)과 하루 2만4000배럴 규모의 휘발유 탈황시설 및 친환경 고급휘발유 제조시설인 알킬레이션 생산공정으로 구성된다.

 GS칼텍스 허동수 회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중질유를 친환경 경질유로 전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탄소 배출을 줄이는 중질유분해시설은 그 자체가 녹색성장기술”이라며 “생산 제품 거의 전량이 경질유만으로 구성되는 정유공장의 이상적인 모델인 Perfect Complex를 실현하게 된다”고 말했다.

 GS칼텍스는 이날 하루 6만배럴 생산규모를 가진 제3중질유분해시설의 준공식도 열었다.

 중질유분해시설은 벙커C유 등의 중질유보다 더 무거운 초중질유에 수소를 첨가해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고품질의 경질 제품을 만드는 친환경 설비로 국내는 물론 아시아에서 처음 도입됐다.

 GS칼텍스는 2조2000억원을 들여 2008년 10월 공사를 시작했으며, 부지면적 61만5000㎡에 감압잔사유 수첨분해시설(VRHCR)을 비롯해 황회수시설, 수소제조시설, 저장 및 출하시설, 지원시설 등이 들어서 있다.

 GS칼텍스가 이처럼 선제적이고 과감하게 고도화시설에 투자하는 이유는 세계적인 석유제품 수요 변화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경질유 제품 수요가 증대되고, 벙커C유 등 중질유 제품 수요는 점차 줄고 있다.

 이 때문에 벙커C유와 같은 값싼 중질유를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고품질의 경질유 제품으로 만드는 고도화시설은 정유사에 생존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

GS칼텍스는 12일 전남 여수 공장에서 1일 6만배럴 규모의 제3중질유분해시설의 준공과 2013년 완공 목표인 1일 5만3천배럴의 제4중질유분해 시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김충석 여수시장, 주승용 의원,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김황식 국무총리, 박준영 전남도지사, 김성곤 의원, 박영준 지경부 제2차관, 김석민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이 기공식에 참석, 시삽을 하고 있다.
GS칼텍스는 12일 전남 여수 공장에서 1일 6만배럴 규모의 제3중질유분해시설의 준공과 2013년 완공 목표인 1일 5만3천배럴의 제4중질유분해 시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김충석 여수시장, 주승용 의원, 김영환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장, 허동수 GS칼텍스 회장, 김황식 국무총리, 박준영 전남도지사, 김성곤 의원, 박영준 지경부 제2차관, 김석민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이 기공식에 참석, 시삽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