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 고학력일수록 스마트폰 많이 쓴다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또 서울 등 대도시 거주자들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활용에 있어서도 소득과 학력에 따른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5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발간한 ‘국내 IT 이용에서 인구사회적 격차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성별과 학력, 직업, 거주지 등에 따라 정보기술(IT) 활용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보고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지난해 하반기 15∼49세 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했다. IT 격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품목은 스마트폰인데 최근 사용자가 1천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력별 조사에서 대학원 이상 학력자들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40%로 고졸 이하의 17.9%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대졸 학력의 스마트폰 이용률도 27.2%에 달했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에서도 대학원 이상(70.8%)이 가장 높았고, 대졸(66.3%), 고졸 이하(52.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무선랜 이용률 역시 대학원 이상(62.5%)이 대졸(33.7%)이나 고졸 이하(23.8%)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가구 소득별로 보면 월평균 소득 5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20.7%였다. 그러나 400만원대(16.3%), 300만원대(14.2%), 200만원대(17.8%)는 10%대를 기록했다. 특히 월소득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9.9%로 500만원 이상 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거주 지역별 분석 결과에서는 서울의 스마트폰 이용률(20%)이 수도권 도시(16.7%)나 광역시(13.7%), 지방도시(13.1%) 보다 높게 나타났다. 거주 형태로는 아파트 거주(17.6%)가 비거주(14.3%)에 비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보고서는 “국내에서는 성별과 연령, 직업, 소득, 거주지역, 거주형태에 따라 IT 이용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런 양극화는 글로벌 IT 강국인 한국이 극복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