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이해관계를 고려하기 보다는 과학기술 연구역량을 잘 결집해 극대화할 수 있고, 빠르게 사업이 진행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법에 따라 엄정한 평가를 통해 선정했다.”
16일 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로 대전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김황식 국무총리가 밝힌 공식 입장이다. 여러 이견이 있겠지만 정부로서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래성장 잠재력 확보라는 원칙을 세워 나름의 절차를 밟았다는 설명이다.
김 총리는 담화에서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로 나눠 타 지역과 연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과학벨트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된 사업이 아니다”면서 “국내의 우수한 연구역량의 갖춘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함께 참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들과의 글로벌 협력, 외국 인재 유치도 이뤄져야한다”고 말했다.
어렵게 선정한 결과물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당부의 말도 이어졌다.
김 총리는 “과학벨트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초과학 육성에 대한 국민여러분의 변함없는 지지와 성원이 뒷받침돼야한다”며 “과학기술인들도 우리나라의 미래가 달려있다는 사명감과 자부심으로 과학기술 발전에 더욱 정진해달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 역시 과학벨트 입지 선정 결과에 대해 “과학벨트가 제2의 과학진흥에 기여해 대한민국의 미래, 과학 한국의 미래에 희망이 돼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과 김 총리의 이같은 간곡한(?) 당부에도 불구하고 과학벨트 입지선정에서 탈락한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후폭풍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과 김 총리 등이 직접 나서 지역 현장 방문 등 민심을 달래기 위한 다양한 후속 대책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