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아이폰 컨트리 록 해제 `핫이슈로`

이통사 "원주인 정보 입증해야 풀어준다"

 중고 아이폰의 컨트리 록(국가별 사용제한·Country Lock) 해제 방법이 통신업계 관심사로 부상했다. 아이폰4·갤럭시S2 등 스마트폰 신 모델 출시 이후 아이폰 중고 판매 물량이 늘어나면서 이동통신사와 중고폰 구매자가 컨트리 록 해제를 놓고 충돌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통사는 도난·분실 등을 확인하기 위해 중고폰을 구매한 뒤 자사 고객으로 가입하거나 원 주인 정보를 입증해야 컨트리 록을 풀어준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중고폰 구매자들은 원 주인 정보 입증이 까다로운 만큼 사실상 이통사 고객 유치 전략이라고 맞서는 상황이다.

 최근 인터넷 중고장터를 통해 아이폰3GS 모델을 구입한 A씨는 며칠 후인 해외 장기 출장시 사용하기 위해 KT에 컨트리 록 해제를 신청했다가 퇴짜를 맞았다.

 A씨는 “고객센터에서 KT와 회선 계약(사용자 가입)을 하거나 원 주인의 신분증 등으로 증명이 돼야 컨트리 록을 해제해 주겠다. KT의 고객이 아닌 A씨에게 컨트리 록을 해제해 줄 의무가 없다는 대답을 들었다”고 밝혔다.

 여러 유통 단계를 거치는 중고폰 특성상 원주인 증명 가입이 어려운 것을 감안할 때 KT 회원 가입을 강요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설명이다.

 컨트리 록이 해제되지 않으면 해외에서 현지 이통사의 유심을 삽입해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지난해 6월 방통위의 시정 명령에 따라 이통사는 2010년 9월부터 모든 단말기를 컨트리 록을 해제한 상태에서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아이폰의 경우 애플 본사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해제를 요청해야 가능하다.

 최근 아이폰4와 갤럭시S2 등 스마트폰 신규 모델 출시가 잇따르면서 아이폰3 중고 판매는 급증하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전체 중고폰 가운데 아이폰3가 5%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앞으로 아이폰5 등 후속 모델이 나오면 KT뿐만 아니라 SK텔레콤에서 유통한 아이폰4 중고 판매도 활기를 띨 전망이어서 중고 아이폰 컨트리 록 해제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KT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신고 되지 않은 도난이나 분실 기기가 주인의 의사 없이 컨트리 록이 풀려 해외에 유통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 망에 가입하면 요금 완납 여부와 원 주인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중고거래를 정상적으로 마치더라도 통신사와 회선계약을 해야만 하는 지금의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은 통신사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KT